Ahnsahnghong
안상홍(安商洪, Ahnsahnghong)님은 성경의 예언에 따라 인류를 구원하기 위해 대한민국에 재림하신 그리스도다. 2000년 전 예수 그리스도 역시 성경 예언대로 이스라엘 베들레헴에 탄생해 복음 사역을 펼치셨다. 성경은 그리스도가 누구인지 알려주는 유일한 증거다.[1] 성경은 육체를 입고 두 번째 이 세상에 오시는 그리스도에 대해서도 다윗 왕위의 예언, 무화과나무의 비유, 엘리야의 사명 등 많은 예언이 기록되었다. 이 모든 예언을 이루신 분이 안상홍님이다. 안상홍님은 2000년 전 예수님이 세운 새 언약 진리를 완전히 복구해 초대교회의 원형대로 하나님의 교회를 재건했고, 복음 생애 말기에는 성경의 마지막 비밀인 어머니 하나님을 선포하셨다.[2]
약력[3]
- 1918년 1월 13일 탄생 (대한민국 전라북도 장수군 장계면[4] 명덕리)
- 1948년 12월 16일 침례 (인천 낙섬)
- 1955년 《일곱 우뢰의 개봉》 저술
- 1964년 하나님의 교회 설립 (부산 해운대구)
- 1970년 전국 4개 교회 설립
- 1980년 전국 13개 교회 설립
- 《하나님의 비밀과 생명수의 샘》 발행
- 1981년 《주간종교》 인터뷰: 재림 그리스도의 사역과 운명 예고
- 1984년 마지막 유월절 집례 (서울)
- 어머니 하나님 선포
- 후계자 공표: 김주철 목사
- 어머니 하나님 선포
- 1985년 2월 25일 승천
안상홍님 생애[3]
1918년 탄생
안상홍님은 1918년 1월 13일 동방 땅끝 나라 대한민국 전라북도 장수군 장계면 명덕리에서 탄생하셨다.
1918년은 세계 정세가 매우 혼란했다. 유럽 국가와 제국주의 열강이 일으킨 제1차 세계대전(1914–1918)으로 최소 2000만 명이 넘는 사람이 목숨을 잃었다.[5] 전쟁 말기에는 전염병의 공포가 세계를 덮쳤다. 20세기 최악의 전염병 스페인독감이었다. 전쟁으로 인한 대규모 군인 징발과 이동이 이 독감을 팬데믹으로 확산시켰고 추정 사망자 수는 5000만에서 1억 명에 달한다. 한반도도 재앙을 피하지 못했다. 1918년 통계에 따르면 한반도 인구 1759만 명 중 288만 4000명이 스페인독감에 감염됐고, 그중 14만 명이 사망했다.[6]
일제에 의해 1910년 국권을 빼앗긴 한국은 당시 극심한 압제와 가난에 시달리고 있었다. 일제의 미곡 수탈로 식량난도 심각했다. 강압 통치가 극에 달한 1939년에는 제2차 세계대전(1939–1945)이 일어났다. 이 전쟁은 인류 역사상 유례없는 피해를 낳아 사망자 수만도 5500만 명으로 추정된다.[7] 일제는 제2차 세계대전의 추축국으로 한국인을 징병, 징용 등으로 전쟁에 강제 동원했고, 미곡에 이어 군수물자까지 한반도에서 수탈했다.[8] 이러한 암흑기에 탄생해 성장하신 안상홍님은 오직 인류의 구원을 위해 자유와 평화가 없는 고통의 시기를 견디셨다.[9]
1948년 침례
이스라엘 독립의 해
안상홍님은 1948년 12월 16일에 인천 낙섬(현재 미추홀구 용현동)에서 침례를 받으셨다.
1948년 그리고 30세에 침례를 받은 이유는 성경 예언을 성취하시기 위해서다. 1948년은 1900년 동안 역사에서 사라졌던 이스라엘이 기적적으로 독립한 해다. 이는 무화과나무의 비유에 따라 재림 그리스도의 출현을 알리는 징조였다. 또한 다윗의 위(位)에 앉아 오시는 그리스도는 다윗이 30세에 왕위에 앉았듯 30세에 침례를 받으셔야 한다. 안상홍님은 1948년, 30세가 되던 해에 침례를 받고 재림 그리스도의 공생애를 시작하셨다.
1948년은 대한민국 역사에서도 뜻깊은 해다. 1945년 일제에 빼앗겼던 주권을 되찾아 광복했고, 1948년에 비로소 대한민국을 국호로 하는 제헌 헌법이 공포된 후 대한민국 정부를 수립했다. 영적으로도 1948년은 재림 그리스도 안상홍님의 등장으로 사도시대 이후 거짓 교리에 가려 있던 진리가 빛을 드러내는 역사적인 해다.
완전한 종교개혁의 시작
당시 초대교회 진리는 종교 암흑시대에 모두 사라지고 안식일만 희미하게 드러난 시대였다. 안상홍님은, 일요일 예배를 지키지 않고 안식일을 지키고 있던 제칠일안식일예수재림교회(안식교)에 1947년 입교해서 30세가 되던 이듬해에 침례를 받으셨다. 안식교에서 침례를 받으신 것은 '인자가 와서 문을 두드린다'는 '라오디게아 교회' 예언의 성취였다.[10]
안상홍님은 안식교에서부터 그들의 오류를 지적하며 영혼 문제, 성경의 음식법, 온전한 안식일 등 구원의 기별을 전하셨다. 이후로도 하나님의 계명을 잃어버린 오늘날 기성교회의 교리를 바로잡기 위해 진리의 개혁, 완전한 종교개혁에 힘쓰셨다.[11]
37년 복음 사역
다윗의 40년 통치 기간은 그리스도의 공생애에 대한 예언이다. 그러나 예수님의 공생애는 3년뿐이었다. 남은 37년 기간은 재림 그리스도가 이루실 예언이다. 안상홍님은 1948년 30세에 침례를 받고, 1985년 37년 재림 그리스도의 공생애 예언을 마칠 때까지 오직 새 언약 진리 회복과 영혼 구원을 위해 헌신하셨다.
한국전쟁 발발
1950년 한국전쟁(6.25전쟁)이 발발했다. 6월 25일 새벽 38선을 넘은 북한군은 순식간에 남한의 수도 서울을 점령하고 남하했다. 1개월 만에 대전 시내에 돌입, 대구, 마산, 포항까지 점령한 후 부산을 목표로 진격했다. 한국군과 유엔 연합군의 반격으로 북한군은 부산을 점령하지 못하고 9월부터 북으로 패퇴했다. 1953년 마침내 휴전이 성립됐다. 일제의 식민 통치와 연이은 전쟁으로 대한민국은 초토화되었다. 가옥 60만 채가 파괴되고 전쟁미망인 20만 명, 전쟁고아 10만 명이 생겼다. 공업 시설 45%가 가동 불능상태가 되어 경제도 무너졌다.[12]
당시 안상홍님은 부산에서 새 언약 복음을 전하고 계셨다. 가난하고 피폐한 시국에도 안상홍님은 하나님의 계명을 소중히 지키셨다. 당시 상황을 담은 친필 노트에는 "6.25 사변에서도 죽음의 고역, 양산 변내 산중에서도 생활에 굴하지 않았다. 직장에서도 안식일 범하지 않았다"라고 기록되어 있다.
1964년 하나님의 교회 설립
안상홍님은 1964년 부산 해운대구에 하나님의 교회를 설립하셨다. 2000년 전 예수님이 친히 세우신 교회, 사도들이 새 언약 진리를 고수했던 초대교회의 재건이었다.
당시 한국은 세계 최빈국 중 하나였다. 1960년 국민의 1인당 실질국민총소득(GNI)은 133만 원,[13] 국내총생산(GDP)은 158달러(약 18만 원)[14]에 불과했다.[15]
초창기 하나님의 교회 역시 하우스처치(House church, 가정 교회) 규모로 미약했다. 안상홍님은 부산과 서울을 비롯한 큰 도시뿐 아니라 오지 마을, 바닷가 작은 마을까지 방방곡곡 다니며 새 언약 진리를 전하셨다. 교회 운영과 전도 경비를 마련하기 위해 고된 노동을 마다하지 않았고 밤낮 없는 전도 활동 중에도 진리 책자 집필에 힘쓰셨다. 《일곱 우뢰의 개봉》, 《천사세계에서 온 손님들》, 《선악과와 복음》, 《모세의 율법과 그리스도의 율법》, 《최후의 재앙과 하나님의 인》, 《성부 성자 성령 성삼위일체 해설》, 《하나님의 비밀과 생명수의 샘》 등이 안상홍님이 저술하신 책이다. 안상홍님의 헌신으로 1970년 전국에 4개였던 하나님의 교회는 1980년 13개 교회로 성장했다.
어머니 하나님 선포
안상홍님은 6000년 구속 사업 예언의 마지막에 등장할 어머니 하나님을 선포하셨다. 안상홍님이 1955년 저술한 책자 《일곱 우뢰의 개봉》 서문에는 "또 한 사람이 있는데 그는 아직 어린 아해더라 이 사람은 내 뒤로 나올 사람이니"라는 문장이 있다. 또 다른 구원자의 등장을 알리는 예언이었다.
1980년에는 모든 진리를 집대성해 《하나님의 비밀과 생명수의 샘》을 발행하셨다. 이 책 제24장 '완성품과 미완성품'에 저술된 '육일 창조의 예언' 중 여섯째 날의 역사에서 안상홍님은 마지막 아담과 마지막 하와의 실체를 요한계시록 22장 17절의 성령과 신부로 해석하셨다. 6일 창조를 구속 사업의 예언으로 나타낸 도표에서는 "끝 날에 성령과 신부가 나타나서 모든 짐승(이방 사람)을 인도할 것이다"라고 기록하셨다. 성령과 신부가 세상 끝에 사람의 모습으로 오셔서 구원받을 사람들을 인도하신다는 예언이다. 생명수를 주시는 성령은 재림 그리스도 즉 아버지 하나님을 가리킨다. 생명수를 주시는 신부는 어린양의 아내인 하늘 예루살렘 곧 우리 어머니다.[16][17]
안상홍님은 37년 복음 생애 말기 어머니 하나님을 알리는 데 주력하셨다. 후계자 김주철 목사와 몇몇 제자들에게는 직접 어머니 하나님에 대해 가르쳤고, 설교 노트에도 "엘리사는 엘리야를 따르고, 여호수아는 모세를 따르고, 베드로는 예수님을 따르고, 나는 어머니를 따름"이라고 기록하셨다. 이 외 다수의 친필 노트와 설교집에 어머니 하나님에 관한 뜻이 담겨 있다.
1984년 4월 15일은 안상홍님이 이 땅에서 지키신 마지막 유월절이었다. 이날 유월절은 교회가 아닌 예식장에서 혼인을 뜻하는 청색, 홍색 화촉을 밝히고 진행되었다. 안상홍님은 이 자리에서 어머니 하나님을 공식적으로 드러내셨다. 같은 해 5월 18일 안상홍님과 하늘 어머니는 혼인 예복을 입고 어버이의 은혜를 의미하는 카네이션을 든 예식 사진을 찍어 어머니 하나님을 확증하셨다.
1985년 승천
안상홍님은 예언에 따라 37년 공생애를 마치고 1985년 2월 25일 승천하셨다. 안상홍님은 언론보도를 통해 재림 그리스도의 죽음을 미리 예언하셨다.
1981년 3월 18일자 《주간종교》에 '소문 안 난 새 종교–하나님의 교회'라는 제목의 기사가 보도됐다. "다시 오시는 주님은 암행어사로 이 땅에 오셔서 37년간 복음사업을 하다가 죽어야 한다", "하나님의 교회는 ... 예수님의 재림 시기가 현재라고 믿고 있으며 재림할 때는 눈, 코, 입, 귀가 달린 육체를 가지고 탄생한다고 믿는다", "초림 예수 때 세워놓은 새 언약이 암흑세기 동안 짓밟혔으므로 새 언약, 생명의 진리를 회복키 위해 주님이 친히 오셔야 한다"는 내용이 실렸다.
안상홍님은 마지막을 준비하며 하나님의 교회가 어머니 하나님의 가르침에 따라 올곧게 성장할 수 있도록 교회 질서를 확립하셨다. 1984년 5월에는 김주철 목사에게 대례복을 물려주며 후계자로 선포하고 인류 구원을 위한 복음 전파의 사명을 당부하셨다.
주요 가르침
안상홍님은 2000년 전 예수님이 세우시고 사도들이 지켰던 복음을 다시 알려주셨다. 사도시대 이후 변질되었던 복음을 그대로 회복하실 분은 오직 성령 하나님뿐이다.
보혜사 곧 아버지께서 내 이름으로 보내실 성령 그가 너희에게 모든 것을 가르치시고 내가 너희에게 말한 모든 것을 생각나게 하시리라
16세기 마르틴 루터를 비롯한 수많은 종교개혁자들은 가톨릭교회의 부패를 비판하고 종교개혁운동을 일으켰다. 하지만 사도시대의 진리는 복구하지 못했다. 오늘날 전 세계 수많은 교파와 교회도 마찬가지다. 안상홍님은 초대교회의 완전한 진리와 신앙을 회복하신 성령 하나님이다.
어머니 하나님
많은 사람이 하나님을 아버지 하나님 한 분으로 알지만 어머니 하나님도 존재한다. 성경은 창세의 역사가 기록된 창세기부터 마지막 시대를 예언한 요한계시록까지 어머니 하나님의 존재를 증명한다. '우리'라고 하신 하나님,[19] 하나님의 형상대로 창조된 남자와 여자,[20] 하늘 예루살렘으로 표상된 우리 어머니,[21] 어린양의 혼인 잔치에 예비된 아내,[22] 마지막 시대 성령과 함께 등장해 생명수를 주시는 신부[23] 등 안상홍님은 성경의 여러 증거를 통해 어머니 하나님을 알리셨다. 어머니를 통해 생명을 이어받는 것이 만물의 이치듯 우리 영혼도 어머니 하나님을 통해 영원한 생명을 받을 수 있다.
그리스도의 율법, 새 언약
성경에는 옛 언약과 새 언약, 두 가지 언약이 등장한다. 옛 언약은 여호와 하나님이 시내산에서 모세를 통해 세우신 모세의 율법이다.[24] 신약시대 이르러 예수님은 구약의 율법을 완전한 율법으로 완성시키셨다.[25][26] 그것이 새 언약, 그리스도의 율법이다.[27]
안상홍님이 가르치신 모든 계명은 구약의 율법이 아니라 2000년 전 예수님이 세워주신 새 언약이자 구원에 이를 수 있는 생명의 법이다.
유월절
새 언약의 핵심 계명이 예수님이 당신의 살과 피를 상징하는 떡과 포도주로 지키신 유월절이다.[28] 새 언약 유월절에는 죄 사함과 영생의 축복이 약속되어 있다.[29][30]
또한 유월절(逾越節, Passover)은 '재앙이 넘어간다'는 의미가 담긴 절기다. 구약시대 이집트(애굽)에서 종살이하던 이스라엘 백성은 어린양의 피로 유월절을 지켜 대재앙을 면하고 애굽에서 해방되었다.[31] 신약시대 유월절 어린양의 실체로 오신 예수님이 인류의 구원을 위해 십자가에 희생하셨다.[32] 새 언약 유월절을 지키는 자는 그리스도의 보혈을 통해 재앙에서 보호받으며 천국으로 나아가는 축복을 받게 된다.
3차의 7개 절기
모세의 행적에서 유래한 3차의 7개 절기는 예수님의 행적에 대한 예언이다. 사진은 하나님의 교회 역사관, '구약관' 내부
3차의 7개 절기는 신구약 성경에 기반한 연간 절기다. 7개의 절기가 총 3차로 조직되어 있으며 1차 절기는 유월절과 무교절, 2차 절기는 초실절(부활절)과 칠칠절(오순절), 3차 절기는 나팔절과 대속죄일(속죄일)과 초막절이다. 모세의 행적에서 유래했으며 신약시대 예수님이 이루시는 일에 대한 예언이기도 하다.[33][34] 절기에는 죄 사함, 영생, 부활, 성령 등 하나님의 축복이 담겨 있다.
- 유월절: 성력 1월 14일 저녁. 예수님의 성만찬일.
- 나팔절: 성력 7월 1일. 회개하며 대속죄일을 준비하는 절기.
- 대속죄일: 성력 7월 10일. 1년 동안 지은 죄를 속함받는 절기.
- 초막절: 성력 7월 15–22일. 그리스도의 본을 따라 전도대회를 여는 절기. 성령 강림이 약속된 절기.
안식일
안식일(安息日)은 6일간 천지 만물을 창조하고 일곱째 날에 안식하신 창조주의 기념일이다. 안식일은 성경과 역사적 사실 등을 기준으로 오늘날 칠요일 제도에서 토요일에 해당한다.
6일 창조 이후 하나님은 일곱째 날 안식일을 거룩하게 했고, 모세 때에는 십계명 중 넷째 계명으로 반포하셨다.[35][36] 신약시대에 예수님은 안식일(토요일)을 규례로 지키셨다.[37] 십자가 사건 이후에도 초대교회는 안식일을 소중히 지켰다.[38] 오늘날 대다수 교회가 한 주간의 첫째 날인 일요일에 예배하지만 안상홍님은 성경대로 일곱째 날 안식일을 예배일로 가르치셨다.
침례
침례(浸禮)는 죄의 몸을 물속에 장례 지내고 새로운 생명으로 거듭나는 예식이다.[39] 한글 개역성경에는 '세례'라고 번역되어 있으나 헬라 원어 'βαπτισμα(밥티스마)'[40]의 어원을 감안하면 '침례'가 바른 표현이다. 하나님의 교회는 안상홍님의 가르침에 따라 성경대로 침례식을 거행한다.
침례는 하나님이 약속하신 구원의 표다.[41] 구원에 이르는 진정한 침례는 '아버지와 아들과 성령의 이름'으로 집전한 침례이며[42] 하나님과 복음에 대한 믿음 안에서 침례를 받아야 한다.[43]
수건 규례
고린도전서 11장에 수건 문제에 관한 하나님의 뜻이 나온다. 초대교회는 기도나 예배 때 남자는 머리에 아무것도 쓰지 않고 여자는 머리에 수건을 썼다.[44] 수건 규례는 그리스도를 본받은 것으로[45] 하나님의 창조 섭리가 담겨 있으며 교회 질서를 위해 제정됐다. 사도 바울은 수건 규례가 고린도 지역뿐 아니라 모든 하나님의 교회의 일치된 규례라고 밝혔다.[46]
오늘날 대부분의 개신교회에서는 예배를 드릴 때 여신도들이 남신도들과 마찬가지로 머리에 수건을 쓰지 않는다. 천주교의 경우, 남성 고위 성직자들이 미사 때 머리에 관이나 모자를 쓴다. 이는 성경의 기준과 맞지 않으며 하나님을 욕보이는 행위라고 사도 바울은 정의했다.[44]
새 계명, 사랑
성경에서 으뜸으로 삼는 첫째 계명은 '사랑'이다.[47] 안상홍님은 유월절 떡과 포도주로 세워진 새 언약이 사랑의 계명을 이루는 방법이라고 가르치셨다.
예수님이 유월절로 세우신 새 언약과[48] "내가 너희를 사랑한 것같이 너희도 서로 사랑하라"는 새 계명을 세우신 장소는[49] 동일한 유월절 성만찬 예식장에서 동일한 시간에 주신 말씀이다. 새 언약과 새 계명은 본질적으로 동일한 말씀이다.[50] 새 언약 유월절을 통해 예수님의 살과 피에 참예한 성도들이 그리스도 안에서 한 몸이 된다.[51] 새 언약 유월절은 예수님의 살과 피를 상징하는 떡과 포도주를 먹고 마심으로써, 인류 구원을 위해 십자가에서 희생하신 그리스도의 희생과 사랑을 깨닫는 예식인 것이다. 이러한 원리로 성도들은 그리스도의 사랑을 헤아려 서로 사랑하라는 새 계명을 실천하게 된다.
영혼 문제
사람은 육체와 영혼의 결합으로 창조되었다.[52] 사람이 죽으면 육체와 영혼은 함께 소멸하는 것이 아니라 육체는 땅으로, 영혼은 하나님께로 돌아간다.[53] 사람의 영혼은 육체로 태어나기 전부터 이미 하늘에 존재했던 천사의 영혼이기 때문이다. 안상홍님은 우리 인생이 왜 이 지구에 살고 있는지, 우리의 영혼이 어디서 왔고 어디로 돌아가야 하는지 등 영혼의 이치를 깨우치셨다. 또한 육체에 갇혀 유한한 삶을 사는 인생들이 다시 하늘로 돌아가는 방법은 그리스도의 대속의 희생이 담긴 새 언약 유월절이라고 가르치셨다.[54]
하나님의 교회와 안상홍님
하나님의교회 세계복음선교협회는 안상홍님이 1964년 세우신 교회다. 2000년 전 예수님이 세우시고 베드로, 요한, 바울 등 사도들이 다닌 초대교회를 원형 그대로 계승했다. 설립 50여 년 만에 175개국 7500여 지역교회를 둔 글로벌 교회로 성장했으며 '이웃을 네 몸과 같이 사랑하라'는 말씀대로 이웃과 사회, 국가에 기여하고 봉사한다.
명칭
예수 그리스도는 2000년 전 '자기 피'로 교회를 세우셨다.[55] 예수님이 세우시고 사도들이 다닌 교회의 이름이 '하나님의 교회'다.[56][57] '하나님이 세우신 교회', '하나님이 주인 된 교회'라는 의미가 있다. '하나님의 피로 세우신 교회'[58]라는 말씀대로 하나님의 보혈이 약속된 새 언약 유월절을 지키는 유일한 교회다.[59]
진리와 신앙
초대교회 이름과, 진리와 신앙까지 계승한 하나님의 교회는 안상홍님의 가르침에 따라 새 언약 유월절을 비롯한 3차의 7개 절기, 안식일, 침례, 수건 규례 등 새 언약 진리를 준수한다. 성도들은 성경의 예언대로 재림하신 안상홍님과 어머니 하나님을 믿고 그 가르침을 실천하고 있다. 또한 그리스도가 세우신 완전한 진리를 알리는 마지막 종교개혁의 사명을 완수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세계 복음 선교
초창기 하나님의 교회는 가정 교회 규모로 부산에서 시작되었으나 안상홍님의 헌신과 희생이 밑거름되어 점차 수도권과 전국 각지로 확산됐다. 안상홍님이 37년 공생애를 마치신 후에는 어머니 하나님의 지도를 따르며 새 언약 복음을 전파하고 하나님의 사랑을 실천하는 데 전념했다. 그 결과 1988년에 등록성도 1만 명을 달성하고 1996년에는 10만 명을 기록했다.
1990년대에는 세계 복음 선교가 시작됐다. 세계 복음 선교는 그리스도인의 사명이다. 2000년 전 예수님은 감람산에서 승천하기 전 제자들에게 "모든 족속으로 제자를 삼아 내가 너희에게 분부한 모든 것을 가르쳐 지키게 하라"는 마지막 지상 명령을 내리셨다.[60][61] 안상홍님도 구원의 진리가 세계 모든 민족에게 전해져야 한다고 가르치셨다.[62] 안상홍님의 가르침대로 하나님의 교회는 세계 복음 선교에 박차를 가해 현재 전 세계 175개국에 7500여 교회가 설립되었다. 2000년대 들어 해외성도 방문단도 본격화되어 2019년 7월까지 연평균 해외성도 1500여 명이 한국을 방문했다.[63]
사회 봉사
하나님의 교회는 안상홍님이 본보이신 사랑과 희생을 전 세계에 실천한다. 재난, 기아, 질병, 빈곤 등으로 고통받는 지구촌 이웃을 위해 긴급구호, 의료 및 복지 지원, 헌혈, 환경 보전 활동 등을 행하며 문화소통, 인성교육 등 사회 여러 분야에서 이웃에게 용기와 희망을 선사한다.[64] 하나님의 교회의 진정성 있는 봉사에 세계 각국 정부와 기관, 각계각층에서 훈장, 표창, 공로상 등 3300여 회 상을 수여했다.[65]
안상홍님 저서[66][67]
관련 영상
- 총회장 김주철 목사 설교: 안상홍 하나님과 예언
- 안상홍님 육성 설교: 썩는 양식과 영생의 양식
- 그리스도 안상홍님 공식 유튜브 채널: 그리스도 안상홍님의 오시는 시기
같이 보기
- 재림 예수님 (재림 그리스도)
- 예수님의 재림 시기
- 예수님의 재림 장소
- 다윗 왕위의 예언
- 어머니 하나님
- 하나님의교회 세계복음선교협회
- 하나님의 교회 종교개혁
- 하나님의 교회 해외성도 방문단
- 하나님의 교회 사회 공헌 활동
참조
각주
- ↑ 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요한복음#5장 Parâmetro desconhecido
|제목=
ignorado (ajuda); Parâmetro desconhecido|인용문=
ignorado (ajuda); Em falta ou vazio|título=
(ajuda) - ↑ https://watv.org/ko/bible_word/the-coming-of-christ-ahnsahnghong/ Parâmetro desconhecido
|제목=
ignorado (ajuda); Parâmetro desconhecido|웹사이트=
ignorado (ajuda); Em falta ou vazio|título=
(ajuda) - ↑ 3,0 3,1 https://ahnsahnghong.com/about/ Parâmetro desconhecido
|제목=
ignorado (ajuda); Parâmetro desconhecido|웹사이트=
ignorado (ajuda); Em falta ou vazio|título=
(ajuda) - ↑ 구(舊) 계내면
- ↑ "World War I," Encyclopædia Britannica
- ↑ https://shindonga.donga.com/Library/3/02/13/1966557/1/ Parâmetro desconhecido
|제목=
ignorado (ajuda); Parâmetro desconhecido|저널=
ignorado (ajuda); Parâmetro desconhecido|날짜=
ignorado (ajuda); Em falta ou vazio|título=
(ajuda) - ↑ "World War II," Encyclopædia Britannica
- ↑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tem/E0047318 Parâmetro desconhecido
|제목=
ignorado (ajuda); Parâmetro desconhecido|저널=
ignorado (ajuda); Em falta ou vazio|título=
(ajuda) - ↑ 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히브리서#9장 Parâmetro desconhecido
|제목=
ignorado (ajuda); Parâmetro desconhecido|인용문=
ignorado (ajuda); Em falta ou vazio|título=
(ajuda) - ↑ 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요한계시록#3장 Parâmetro desconhecido
|제목=
ignorado (ajuda); Parâmetro desconhecido|인용문=
ignorado (ajuda); Em falta ou vazio|título=
(ajuda) - ↑ https://jmagazine.joins.com/monthly/view/318954 Parâmetro desconhecido
|제목=
ignorado (ajuda); Parâmetro desconhecido|저널=
ignorado (ajuda); Parâmetro desconhecido|연도=
ignorado (ajuda); Em falta ou vazio|título=
(ajuda) - ↑ https://ko.wikisource.org/w/index.php?title=%EA%B8%80%EB%A1%9C%EB%B2%8C_%EC%84%B8%EA%B3%84_%EB%8C%80%EB%B0%B1%EA%B3%BC%EC%82%AC%EC%A0%84/%ED%95%9C%EA%B5%AD%EC%82%AC/%ED%98%84%EB%8C%80%EC%82%AC%ED%9A%8C%EC%9D%98_%EB%B0%9C%EB%8B%AC/%EC%8B%9C%EB%A0%A8%EA%B3%BC_%EB%AF%BC%EC%A3%BC%EC%A3%BC%EC%9D%98%EC%9D%98_%EB%B0%9C%EC%A0%84/6%C2%B725%EC%A0%84%EC%9F%81&oldid=198078 Parâmetro desconhecido
|제목=
ignorado (ajuda); Parâmetro desconhecido|웹사이트=
ignorado (ajuda); Em falta ou vazio|título=
(ajuda) - ↑ https://www.index.go.kr/unity/potal/indicator/IndexInfo.do?cdNo=2&clasCd=8&idxCd=8086 Parâmetro desconhecido
|제목=
ignorado (ajuda); Parâmetro desconhecido|웹사이트=
ignorado (ajuda); Em falta ou vazio|título=
(ajuda) - ↑ https://data.worldbank.org/indicator/NY.GDP.PCAP.CD?end=2020&locations=KR&name_desc=false&start=1960&view=chart Parâmetro desconhecido
|제목=
ignorado (ajuda); Parâmetro desconhecido|웹사이트=
ignorado (ajuda); Em falta ou vazio|título=
(ajuda) - ↑ https://www.joongang.co.kr/article/1766759#home Parâmetro desconhecido
|제목=
ignorado (ajuda); Parâmetro desconhecido|저널=
ignorado (ajuda); Parâmetro desconhecido|날짜=
ignorado (ajuda); Em falta ou vazio|título=
(ajuda) - ↑ 안상홍, "제24장 완성품과 미완성품", 《하나님의 비밀과 생명수의 샘》, 멜기세덱출판사, 2016, 160쪽
- ↑ http://monthly.chosun.com/client/news/viw.asp?ctcd=&nNewsNumb=202003100052 Parâmetro desconhecido
|제목=
ignorado (ajuda); Parâmetro desconhecido|저널=
ignorado (ajuda); Parâmetro desconhecido|날짜=
ignorado (ajuda); Em falta ou vazio|título=
(ajuda) - ↑ "소문 안 난 새 宗敎(종교)–하나님의 교회", 《주간종교》, 1981. 3. 18.
- ↑ 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창세기#1장 Parâmetro desconhecido
|제목=
ignorado (ajuda); Parâmetro desconhecido|인용문=
ignorado (ajuda); Em falta ou vazio|título=
(ajuda) - ↑ 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창세기#1장 Parâmetro desconhecido
|제목=
ignorado (ajuda); Parâmetro desconhecido|인용문=
ignorado (ajuda); Em falta ou vazio|título=
(ajuda) - ↑ 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갈라디아서#4장 Parâmetro desconhecido
|제목=
ignorado (ajuda); Parâmetro desconhecido|인용문=
ignorado (ajuda); Em falta ou vazio|título=
(ajuda) - ↑ 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요한계시록#19장 Parâmetro desconhecido
|제목=
ignorado (ajuda); Parâmetro desconhecido|인용문=
ignorado (ajuda); Em falta ou vazio|título=
(ajuda) - ↑ 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요한계시록#22장 Parâmetro desconhecido
|제목=
ignorado (ajuda); Parâmetro desconhecido|인용문=
ignorado (ajuda); Em falta ou vazio|título=
(ajuda) - ↑ 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느헤미야#9장 Parâmetro desconhecido
|제목=
ignorado (ajuda); Parâmetro desconhecido|인용문=
ignorado (ajuda); Em falta ou vazio|título=
(ajuda) - ↑ 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마태복음#5장 Parâmetro desconhecido
|제목=
ignorado (ajuda); Parâmetro desconhecido|인용문=
ignorado (ajuda); Em falta ou vazio|título=
(ajuda) - ↑ 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히브리서#7장 Parâmetro desconhecido
|제목=
ignorado (ajuda); Parâmetro desconhecido|인용문=
ignorado (ajuda); Em falta ou vazio|título=
(ajuda) - ↑ 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고린도전서#9장 Parâmetro desconhecido
|제목=
ignorado (ajuda); Parâmetro desconhecido|인용문=
ignorado (ajuda); Em falta ou vazio|título=
(ajuda) - ↑ 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누가복음#22장 Parâmetro desconhecido
|제목=
ignorado (ajuda); Parâmetro desconhecido|인용문=
ignorado (ajuda); Em falta ou vazio|título=
(ajuda) - ↑ 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마태복음#26장 Parâmetro desconhecido
|제목=
ignorado (ajuda); Parâmetro desconhecido|인용문=
ignorado (ajuda); Em falta ou vazio|título=
(ajuda) - ↑ 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요한복음#6장 Parâmetro desconhecido
|제목=
ignorado (ajuda); Parâmetro desconhecido|인용문=
ignorado (ajuda); Em falta ou vazio|título=
(ajuda) - ↑ 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출애굽기#12장 Parâmetro desconhecido
|제목=
ignorado (ajuda); Parâmetro desconhecido|인용문=
ignorado (ajuda); Em falta ou vazio|título=
(ajuda) - ↑ 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고린도전서#5장 Parâmetro desconhecido
|제목=
ignorado (ajuda); Parâmetro desconhecido|인용문=
ignorado (ajuda); Em falta ou vazio|título=
(ajuda) - ↑ 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신명기#18장 Parâmetro desconhecido
|제목=
ignorado (ajuda); Parâmetro desconhecido|인용문=
ignorado (ajuda); Em falta ou vazio|título=
(ajuda) - ↑ 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사도행전#3장 Parâmetro desconhecido
|제목=
ignorado (ajuda); Parâmetro desconhecido|인용문=
ignorado (ajuda); Em falta ou vazio|título=
(ajuda) - ↑ 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창세기#2장 Parâmetro desconhecido
|제목=
ignorado (ajuda); Parâmetro desconhecido|인용문=
ignorado (ajuda); Em falta ou vazio|título=
(ajuda) - ↑ 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출애굽기#20장 Parâmetro desconhecido
|제목=
ignorado (ajuda); Parâmetro desconhecido|인용문=
ignorado (ajuda); Em falta ou vazio|título=
(ajuda) - ↑ 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누가복음#4장 Parâmetro desconhecido
|제목=
ignorado (ajuda); Parâmetro desconhecido|인용문=
ignorado (ajuda); Em falta ou vazio|título=
(ajuda) - ↑ 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사도행전#17장 Parâmetro desconhecido
|제목=
ignorado (ajuda); Parâmetro desconhecido|인용문=
ignorado (ajuda); Em falta ou vazio|título=
(ajuda) - ↑ 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로마서#6장 Parâmetro desconhecido
|제목=
ignorado (ajuda); Parâmetro desconhecido|인용문=
ignorado (ajuda); Em falta ou vazio|título=
(ajuda) - ↑ "Matthew 3," Bible Hub,
Ἰδὼν δὲ πολλοὺς τῶν Φαρισαίων καὶ Σαδδουκαίων ἐρχομένους ἐπὶ τὸ βάπτισμα αὐτοῦ,
- ↑ 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베드로전서#3장 Parâmetro desconhecido
|제목=
ignorado (ajuda); Parâmetro desconhecido|인용문=
ignorado (ajuda); Em falta ou vazio|título=
(ajuda) - ↑ 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마태복음#28장 Parâmetro desconhecido
|제목=
ignorado (ajuda); Parâmetro desconhecido|인용문=
ignorado (ajuda); Em falta ou vazio|título=
(ajuda) - ↑ 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마가복음#16장 Parâmetro desconhecido
|제목=
ignorado (ajuda); Parâmetro desconhecido|인용문=
ignorado (ajuda); Em falta ou vazio|título=
(ajuda) - ↑ 44,0 44,1 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고린도전서#11장 Parâmetro desconhecido
|제목=
ignorado (ajuda); Parâmetro desconhecido|인용문=
ignorado (ajuda); Em falta ou vazio|título=
(ajuda) - ↑ 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고린도전서#11장 Parâmetro desconhecido
|제목=
ignorado (ajuda); Parâmetro desconhecido|인용문=
ignorado (ajuda); Em falta ou vazio|título=
(ajuda) - ↑ 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고린도전서#11장 Parâmetro desconhecido
|제목=
ignorado (ajuda); Parâmetro desconhecido|인용문=
ignorado (ajuda); Em falta ou vazio|título=
(ajuda) - ↑ 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마태복음#22장 Parâmetro desconhecido
|제목=
ignorado (ajuda); Parâmetro desconhecido|인용문=
ignorado (ajuda); Em falta ou vazio|título=
(ajuda) - ↑ 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누가복음#22장 Parâmetro desconhecido
|제목=
ignorado (ajuda); Parâmetro desconhecido|인용문=
ignorado (ajuda); Em falta ou vazio|título=
(ajuda) - ↑ 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요한복음#13장 Parâmetro desconhecido
|제목=
ignorado (ajuda); Parâmetro desconhecido|인용문=
ignorado (ajuda); Em falta ou vazio|título=
(ajuda) - ↑ 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출애굽기#34장 Parâmetro desconhecido
|제목=
ignorado (ajuda); Parâmetro desconhecido|인용문=
ignorado (ajuda); Em falta ou vazio|título=
(ajuda) - ↑ 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고린도전서#10장 Parâmetro desconhecido
|제목=
ignorado (ajuda); Parâmetro desconhecido|인용문=
ignorado (ajuda); Em falta ou vazio|título=
(ajuda) - ↑ 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창세기#2장 Parâmetro desconhecido
|제목=
ignorado (ajuda); Parâmetro desconhecido|인용문=
ignorado (ajuda); Em falta ou vazio|título=
(ajuda) - ↑ 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전도서#12장 Parâmetro desconhecido
|제목=
ignorado (ajuda); Parâmetro desconhecido|인용문=
ignorado (ajuda); Em falta ou vazio|título=
(ajuda) - ↑ 안상홍, "제25장 사람의 영혼은 어디서 왔는가?", 《하나님의 비밀과 생명수의 샘》, 멜기세덱출판사, 2016, 170쪽
- ↑ 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사도행전#20장 Parâmetro desconhecido
|제목=
ignorado (ajuda); Parâmetro desconhecido|인용문=
ignorado (ajuda); Em falta ou vazio|título=
(ajuda) - ↑ 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고린도전서#1장 Parâmetro desconhecido
|제목=
ignorado (ajuda); Parâmetro desconhecido|인용문=
ignorado (ajuda); Em falta ou vazio|título=
(ajuda) - ↑ 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갈라디아서#1장 Parâmetro desconhecido
|제목=
ignorado (ajuda); Parâmetro desconhecido|인용문=
ignorado (ajuda); Em falta ou vazio|título=
(ajuda) - ↑ 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사도행전#20장 Parâmetro desconhecido
|제목=
ignorado (ajuda); Parâmetro desconhecido|인용문=
ignorado (ajuda); Em falta ou vazio|título=
(ajuda) - ↑ http://woman.chosun.com/news/articleView.html?idxno=76022 Parâmetro desconhecido
|제목=
ignorado (ajuda); Parâmetro desconhecido|인용문=
ignorado (ajuda); Parâmetro desconhecido|저널=
ignorado (ajuda); Parâmetro desconhecido|날짜=
ignorado (ajuda); Em falta ou vazio|título=
(ajuda) - ↑ 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마가복음#16장 Parâmetro desconhecido
|제목=
ignorado (ajuda); Parâmetro desconhecido|인용문=
ignorado (ajuda); Em falta ou vazio|título=
(ajuda) - ↑ 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사도행전#1장 Parâmetro desconhecido
|제목=
ignorado (ajuda); Parâmetro desconhecido|인용문=
ignorado (ajuda); Em falta ou vazio|título=
(ajuda) - ↑ 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마태복음#24장 Parâmetro desconhecido
|제목=
ignorado (ajuda); Parâmetro desconhecido|인용문=
ignorado (ajuda); Em falta ou vazio|título=
(ajuda) - ↑ https://watv.org/ko/world/ Parâmetro desconhecido
|제목=
ignorado (ajuda); Parâmetro desconhecido|웹사이트=
ignorado (ajuda); Em falta ou vazio|título=
(ajuda) - ↑ https://watv.org/ko/volunteer/ Parâmetro desconhecido
|제목=
ignorado (ajuda); Parâmetro desconhecido|웹사이트=
ignorado (ajuda); Em falta ou vazio|título=
(ajuda) - ↑ https://watv.org/ko/award/ Parâmetro desconhecido
|제목=
ignorado (ajuda); Parâmetro desconhecido|웹사이트=
ignorado (ajuda); Em falta ou vazio|título=
(ajuda) - ↑ 국가서지검색(안상홍)《국립중앙도서관》
- ↑ https://ahnsahnghong.com/teaching/great-legacy/ Parâmetro desconhecido
|제목=
ignorado (ajuda); Parâmetro desconhecido|웹사이트=
ignorado (ajuda); Em falta ou vazio|título=
(ajud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