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Última Ceia

Revisão em 05h24min de 17 de março de 2025 por Hw1440 (discussão | contribs)

최후의 만찬(最後─晩餐, The Last Supper)은 예수 그리스도십자가에 운명하기 전날 밤, 제자들과 함께 나누신 마지막 만찬을 가리킨다. 성경적 명칭은 유월절 성만찬(성찬식)이다. 르네상스 시대 이탈리아의 화가 레오나르도 다빈치(Leonardo da Vinci)가 그린 벽화로 잘 알려져 있다.[1] '최후의 만찬' 즉 유월절 장면이 기록된 성경의 사복음서는 세계적 명화의 예술적 가치 그 이면에 인류의 구원을 위한 그리스도의 언약이 실재했음을 알려준다. 예수님이 마지막 유월절 성만찬 자리에서 인류의 죄 사함과 영생을 위한 새 언약, 생명의 법도를 세우셨기 때문이다.A Última Ceia se refere à última ceia que Jesus Cristo teve com seus discípulos na noite antes de Jesus morrer na cruz. O nome bíblico para essa ceia é Santa Ceia da Páscoa. Ela é bem conhecida por conta de uma pintura de Leonardo da Vinci, um pintor italiano do período renascentista. Os quatro evangelhos da Bíblia, que registraram a cena da Última Ceia, isto é, a Páscoa, mostram que a aliança de Cristo para a salvação da humanidade está por trás do valor artístico de uma pintura mundialmente famosa. Isso porque Jesus estabeleceu a Nova Aliança, a lei da vida, para dar a remissão de pecados e a vida eterna a toda a humanidade na sua última Santa Ceia da Páscoa.

Na santa ceia da Páscoa, que é bem conhecida como “A Última Ceia”, Jesus estabeleceu a Nova Aliança, que tem a promessa de dar a remissão de pecados e a vida eterna.

명화의 소재Material para a Obra-prima

'최후의 만찬'은 서양 종교미술에서 자주 쓰이는 유서 깊은 소재로 초기 그리스도교의 카타콤(지하 묘지)에서도 이를 소재로 한 벽화를 볼 수 있다.[2] 예수님이 십자가 고난 받으신 전날, 열두 제자들과 만찬을 나누는 장면을 묘사한다.A “Última Ceia” é um material histórico frequentemente usado na arte religiosa do Ocidente, e pode-se ver os quadros baseados nisso nas catacumbas (cemitério subterrâneo) dos cristãos primitivos também. A cena descreve Jesus realizando a ceia com seus doze discípulos, na noite antes do seu sofrimento na cruz.


과거 화가들은 단순히 자신이 원하는 그림을 그리기보다 누군가의 주문을 받아 그림을 그렸다. 제작을 의뢰한 계층이 주로 귀족과 성직자였기에 당시 미술 작품은 역사화나 종교화에 치중돼 있었다. 특히 의뢰자나 화가들은 구원의 의미를 되새기는 동시에, 죽음을 앞둔 예수님의 마지막 식사, 제자의 배반 등 '최후의 만찬'에 담긴 긴장감과 감동을 그림으로 표현하고 싶어 했다.[3]No passado, pintores desenhavam a pedido, ao invés de simplesmente pintar o que eles queriam. As obras de arte daquele tempo eram focadas nas pinturas históricas porque os clientes eram na maioria aristocratas e sacerdotes. Em particular, os comissários e artistas queriam refletir no significado da salvação, ao mesmo tempo em que expressavam a tensão e a emoção contidas na “Última Ceia”, retratando a última refeição de Jesus Cristo antes de sua morte e a traição de um discípulo através da pintura.


최후의 만찬은 오랫동안 수많은 화가들에 의해 그려졌다. 르네상스 회화의 선구자라 불리는 조토 디본도네(Giotto di Bondone)의 〈최후의 만찬〉, 북부 르네상스의 특징을 잘 보여주는 네덜란드 화가 디르크 바우츠(Dirk Bouts)의 〈최후의 만찬〉,[4] 에스파냐 화가 후안 데후아네스(Juan de Juanes)의 〈최후의 만찬〉 등이다.[5] 그중 레오나르도 다빈치가 그린 〈최후의 만찬〉이 가장 유명하다.A última ceia de Jesus foi pintada por vários pintores. ÚLTIMA CEIA de Giotto di Bondone, pioneiro da pintura renascentista, TRÍPTICO DA ÚLTIMA CEIA de Dirk Bouts, que mostra bem as características da Renascença do Norte, e A ÚLTIMA CEIA do pintor espanhol Juan Dejuanes, etc. Entre eles, A ÚLTIMA CEIA de Leonardo da Vinci é a mais famosa.

다빈치의 〈최후의 만찬〉A Última Ceia por Leonardo da Vinci

〈최후의 만찬〉은 레오나르도 다빈치가 1495년부터 2년여에 걸쳐 이탈리아 밀라노의 산타 마리아 델레 그라치에(Santa Maria delle Grazie) 수도원 식당에 그린 벽화다. 이 작품은 다빈치의 독창성, 형식미, 숭고한 주제를 다루는 탁월한 방식 등으로 르네상스 전성기의 걸작으로 평가되고 있다. 영국의 미술사학자 곰브리치(Ernst Hans Josef Gombrich)는 레오나르도 다빈치의 〈최후의 만찬〉에 대해 "인간의 천재성이 만들어낸 위대한 기적들 중의 하나"라고 말했다.[6] 이밖에도 다수의 학자와 평론가들이 이 작품의 예술성을 높게 평가하고 있으며 많은 예술가들이 패러디 할 정도로 시대를 초월해 가치를 인정하고 있다.[7] 유네스코는 이 작품을 세계문화유산으로 지정했다.[8]A ÚLTIMA CEIA foi pintada por Leonardo da Vinci ao longo de um período de dois anos, a partir de 1495, na parede de um refeitório em Santa Maria delle Grazie, em Milão, Itália. Essa obra é considerada como uma obra-prima do Renascentismo por sua criatividade, beleza e excelente maneira de lidar com o assunto de forma sublime. O historiador de arte britânico nascido na Áustria, Ernst Hans Josef Gombrich, disse que A ÚLTIMA CEIA de Leonardo da Vinci é “um dos grandes milagres realizados pelo gênio humano”.  Além disso, muitos estudiosos e críticos apreciam a arte desta obra, e muitos artistas visuais, incluindo Andy Warhol, reconhecem o seu valor, transcendendo o tempo, a ponto de criarem obras a partir dela. Esta obra foi inscrita na Lista do Patrimônio Mundial da UNESCO.

 
A ÚLTIMA CEIA, de Leonardo da Vinci (1452-1519)

주제와 장면Tema e cena

이 작품의 주제는 예수님이 십자가에 운명하시기 전날, 열두 제자와 함께 나눈 '마지막 만찬'이다. 묘사된 장면은 예수님이 제자 중 한 명이 배반할 것이라 말씀하셨을 때 제자들이 보인 반응이라고 한다.[9][10] 성경 요한복음에는 제자들이 서로 보며 배신할 자가 누구인지 궁금해하는 모습이 기록돼 있다.[11] 다빈치가 표현하고자 했던 것이 바로 이 순간이다. 하나의 화폭 안에 예수님과 제자들의 다양한 표정과 제스처가 담겨 있다.[12]O tema dessa obra é “A Última Ceia” que Jesus compartilhou com seus doze discípulos no dia antes da sua morte na cruz. A cena supostamente descreve a reação dos discípulos quando Jesus disse que um dos discípulos o trairia. No evangelho de João da Bíblia, está registrado que os discípulos olhavam uns aos outros e se perguntavam quem o trairia. Esse é o momento que Leonardo da Vinci quis desenhar. Há várias expressões faciais e gestos de Jesus e seus discípulos nessa pintura.


“Ditas estas coisas, angustiou-se Jesus em espírito e afirmou: Em verdade, em verdade vos digo que um dentre vós me trairá. Então, os discípulos olharam uns para os outros, sem saber a quem ele se referia. [...] a esse fez Simão Pedro sinal, dizendo-lhe: Pergunta a quem ele se refere. Então, aquele discípulo, reclinando-se sobre o peito de Jesus, perguntou-lhe: Senhor, quem é?”

- João 13:21-25


유네스코 세계유산의 해설에 따르면 예수님을 중심으로 3명씩 네 무리의 제자들이 배치되었다.De acordo com a explicação da Convenção do Patrimônio Mundial da UNESCO, quatro grupos de três imagens foram pintadas em cada lado de Cristo.


예수님 왼편에 나란히 있는 첫 번째 무리는 바돌로매, 야고보(알패오의 아들), 안드레인데 예수님의 말씀에 충격을 받은 모습이다. 두 번째 무리베드로, 유다, 요한이다. 성급한 베드로가 요한 쪽으로 기대어 무엇인가를 속삭이고 있고, 요한은 무심코 유다를 앞으로 밀고 있다. 유다의 모습은 다른 사람들과 분리되지 않으면서 강조되었다. 가운데에서 깜짝 놀라 예수님 쪽으로 기대는 세 번째 무리도마, 야고보(요한의 형제), 빌립이며, 이들은 예수님에게 자신들의 충성을 확인하느라 열심 내는 것처럼 보인다. 오른쪽의 네 번째 무리마태, 다대오, 시몬으로 구성되는데, 그들은 열띤 토론에 빠져 예수님을 보지 않고 있다.[13]O primeiro grupo começando na extremidade esquerda de Jesus é Bartolomeu, Tiago (filho de Alfeu) e André, que parecem chocados com as palavras de Jesus. O segundo grupo é Pedro, Judas e João. Pedro, que é impetuoso, inclina-se para João, sussurrando algo, e João está empurrando, sem intenção, Judas para frente. Judas é enfatizado sem estar separado dos outros. O terceiro grupo do meio, inclinado em direção a Jesus e parecendo surpreso é Tomé, Tiago (irmão de João) e Filipe, que parecem ser zelosos para confirmar sua lealdade a Jesus. O quarto grupo na extrema direita de Jesus é Mateus, Tadeu e Simão. Eles não estão olhando para Jesus por causa do debate acalorado entre eles.


〈최후의 만찬〉에는 상징적인 요소들도 묘사돼 있다. 베드로의 손에 들린 칼은 예수님을 잡으려는 병사의 귀를 베는 데 사용할 것을 암시하고, 유다의 손에 들린 돈주머니는 은전 30냥에 예수님을 배반할 것을 상징화했다고 한다.[14] 식탁 위에 놓인 떡과 포도주도 단순한 만찬 음식이 아니라, 예수님이 다음 날 십자가에서 찢기고 흘리실 살과 피를 상징한다.[15]Alguns elementos simbólicos também são encontrados na A ÚLTIMA CEIA. A faca na mão de Pedro implica que ele a usará mais tarde ao cortar a orelha do soldado que tentava prender Jesus, e a bolsa na mão de Judas simboliza a sua traição por trinta moedas de prata. O pão e o vinho na mesa não são apenas comida para uma ceia, mas eles simbolizam a carne e o sangue que Jesus derramaria na cruz no dia seguinte.

구도와 화법Composição e técnica de desenho

15세기 당시 피렌체에서 같은 주제를 다룬 그림들에서는 예수님 양옆에 제자들이 앉아 있고, 유다는 반대편에 따로 떨어져 있었다. 다빈치의 그림에서 유다는 고립되지 않고 제자들 무리에 섞여 앉아 있다.[16]
또 르네상스 미술의 특징 중 하나인 '원근법'으로 짜여져 공간의 깊이를 만들어냈다. 예수님의 머리에 위치한 소실점(消失點)을 중심으로 원근법이 표현되었는데, 이는 마치 그림 속 벽면과 실제 벽면이 이어져 벽 너머 공간에서 최후의 만찬이 이루어지는 것처럼 보이게 한다.[17]Nas pinturas que trataram do mesmo objeto em Florença no século XV, os discípulos são colocados em cada lado de Jesus e Judas separadamente do outro lado. Na pintura de Da Vinci, Judas não está isolado, mas senta no meio dos discípulos. Além disso, ele utilizou perspectiva linear para criar a ilusão de profundidade de uma superfície plana, que é uma das características da arte renascentista. Perspectiva é expressa sobre o ponto de fuga localizado na cabeça de Judas, que faz parecer como se a parede da pintura está conectada com a parede real, e como se a última ceia está sendo realizada no fundo da sala.


동일한 주제를 다룬 이전의 그림들과 달리 예수님과 제자들 주변에 후광이 없는 것도 특징이다. 다빈치는 뒤편 3개의 창문에서 들어오는 밝은 빛으로 예수님을 감싸게 했다. 빛을 사용해 인물들의 입체감을 살리고 옷의 주름, 식탁 위의 접시 등 세부적인 요소까지 실감나게 묘사했다.Também é notável que não há aréola ao redor de Jesus e seus discípulos, diferente das pinturas anteriores, que trataram do mesmo objeto. Da Vinci cercou Jesus com luz brilhante vinda das três janelas atrás dele. Ele usou a luz para criar um efeito tridimensional sobre os personagens, e vividamente descreveu os detalhes como amassados de roupas e pratos sobre a mesa.

Não houve nada nesta obra que parecesse com representações mais antigas do mesmo tema. Nestas versões tradicionais, os apóstolos foram vistos sentados em silêncio na mesa em uma fila, somente Judas estava segregado do restante, enquanto Cristo estava calmamente dispensando o Sacramento. A nova imagem foi muito diferente de qualquer uma dessas pinturas.
— - A HISTÓRIA DA ARTE, E. H. Gombrich

다빈치는 화법(畫法)에 있어서도 기존의 방식을 탈피했다. 그는 완벽한 작품을 만들기 위해 한 번 그리면 수정이 불가능한 전통적인 프레스코(fresco) 기법 대신 달걀노른자에 안료(顔料)를 섞어 그리는 템페라(tempera) 기법을 사용했다. 템페라 기법은 세밀한 묘사와 환한 색채 표현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었으나 벽화에 사용하면 벗겨지기 쉽다는 단점이 있었다. 이로 인해 다빈치의 〈최후의 만찬〉은 완성되기도 전에 곰팡이와 균열이 생기고, 식당의 습기로 그림 일부가 떨어져 나갔다.Da Vinci também escolheu não usar o método pré-existente de técnicas de desenho. Para fazer uma obra-prima perfeita, ele trabalhou na têmpera, que é uma técnica de pintar com pigmentos ligados à gema de ovo, e não no afresco, que é uma técnica com a qual a pintura não pode ser fixada depois de feita. A técnica da têmpera tinha a vantagem de poder descrever detalhadamente e expressar cores vivas, mas tinha a desvantagem de descolar facilmente quando usada em quadros. Como resultado, mofo e rachaduras se formaram na A ÚLTIMA CEIA de Da Vinci, e parte da pintura caiu devido à umidade na sala de jantar.


그렇게 16세기 초반에 이미 그림 상태가 나빠졌다고 하며, 홍수와 전쟁 등을 겪으면서 본모습을 잃게 되었다.[18] 1970년대 후반 이탈리아 정부가 복원에 나서면서 1999년, 20여 년 만에 복원된 그림이 세간에 공개됐다.[19] 작품 손상을 막기 위해 관람 시간을 15분으로 제한하고 있는데도, 이 명화를 보기 위해 많은 이들이 밀라노를 방문하고 있다.[20]É dito que a pintura já tinha deteriorado no início do século XVI, e perdeu sua verdadeira aparência através de enchentes e guerras. Como o governo italiano começou a restaurar a pintura no final dos anos 1970, a pintura restaurada foi liberada ao público em 1999. Ainda que o tempo de visualização seja limitado a 15 minutos para cada pessoa a fim de impedir danos à obra, muitas pessoas visitam Milão para ver a obra-prima.

'최후의 만찬' 성경적 명칭은 유월절A Páscoa, o Nome Bíblico para a Última Ceia

'최후의 만찬'의 성경적 명칭은 '유월절'이다.[15][21] 국어사전에서 '만찬(晩餐)'은 저녁 식사로 먹기 위하여 차린 음식 또는 손님을 초대하여 함께 먹는 저녁 식사를 뜻한다.[22] '만찬'이란 단어에서 알 수 있듯 유월절 예식은 성력 1월 14일 '저녁'에 행해진다.[23] 그래서 예수님도 이날을 기다려 저물 때에 열두 제자와 함께 유월절을 지키셨다.[9][15]O nome bíblico para “A ÚLTIMA CEIA” é Páscoa. A palavra “ceia” no dicionário inglês se refere a uma refeição principal comida de noite ou um evento em que as pessoas chegam juntas para comer à noite. Como a palavra “ceia” mostra, a Páscoa é celebrada na noite do 14º dia do primeiro mês do calendário sagrado. Assim, Jesus também esperou por este dia para celebrar a Páscoa com seus doze discípulos no crepúsculo da tarde.


“E eles fizeram como Jesus lhes ordenara e prepararam a Páscoa. Chegada a tarde, pôs-se ele à mesa com os doze discípulos. [...] Enquanto comiam, tomou Jesus um pão, e, abençoando-o, o partiu, e o deu aos discípulos, dizendo: Tomai, comei; isto é o meu corpo. A seguir, tomou um cálice e, tendo dado graças, o deu aos discípulos, dizendo: Bebei dele todos porque isto é o meu sangue, o sangue da [nova] aliança, derramado em favor de muitos, para remissão de pecados.”

- Mateus 26:19-28


어떤 사람들은 성경의 유월절을 예수님이 부활하신 날로 오해하기도 한다. 하지만 성경의 유월절은 예수님께서 고난을 받으시기 전날 밤에 지키는 것이며,[24] 이날 행하는 성찬식은 예수님의 부활이 아니라 예수님의 죽으심을 기념하기 위한 것이다.[25]Algumas pessoas entendem mal que a Páscoa da Bíblia é o dia em que Jesus ressuscitou. Contudo, a Páscoa na Bíblia é celebrada na noite anterior ao sofrimento de Jesus, e a Santa Ceia é celebrada em comemoração à morte de Jesus, não da sua ressurreição.

유월절 예식 과정Cerimônia da Páscoa

예수님은 가룟 유다가 배반할 것과, 제자들이 도망할 것 그리고 무엇보다 당신이 처절한 고통과 괴로움 속에서 죽어야 할 것도 아셨다. 참혹한 죽음을 앞둔 상황에서 예수님은 성경의 모든 예언을 이루기 위해 최후의 만찬 즉 새 언약 유월절을 예비케 하시고 이를 행하셨다.Jesus sabia que Judas Iscariotes o trairia, que seus discípulos fugiriam, e que ele morreria com grande dor e agonia. À beira de uma terrível morte, Jesus realizou a última ceia, a Páscoa da Nova Aliança, preparou e a realizou a fim de cumprir todas as profecias da Bíblia.


유월절은 세족예식과 성찬식으로 이루어졌다. 세족예식은 말 그대로 '발을 씻기는[洗足]' 예식으로, 성만찬 전 예수님이 제자들의 발을 친히 씻겨주신 본을 의미한다.[26]

세족예식 후 예수님의 성체와 보혈에 참예하는, 유월절 성찬식이 거행됐다.A Páscoa consistiu da cerimônia de lava-pés e a santa ceia. A cerimônia de lava-pés era um ritual em que os santos seguiam o exemplo de Cristo que lavou os pés dos seus discípulos antes de tomar o pão e o vinho da Páscoa. Depois da cerimônia de lava-pés, a santa ceia da Páscoa foi realizada para os discípulos participarem do santo corpo e do precioso sangue de Jesus.

 
Antes da santa ceia, Jesus mesmo lavou os pés dos seus discípulos.
CLASS CONTEÚDO
Preparação 예수님이 베드로와 요한을 보내 유월절 만찬을 먹을 객실을 준비하게 하신다. 제자들은 예수님의 말씀대로 유월절을 예비한다.[27][28][29]Jesus envia Pedro e João para preparar uma sala onde eles pudessem comer a Páscoa. Os discípulos preparam a Páscoa como Jesus lhes ordenou.
Cerimônia

de Lava-Pés|| align="left" |유월절 저녁이 되어 마가의 소유로 전해지는 큰 다락방에 제자들이 모이자, 예수님은 제자들의 발을 손수 씻겨주신다.[30] 제자들의 발을 모두 씻긴 후 보여준 본을 그대로 행하라고 말씀하신다.[26]Na noite da Páscoa, os discípulos se reúnem no sótão, que é dito que pertence a Marcos, e Jesus mesmo lava os seus pés. Depois de lavar os pés dos seus discípulos, ele lhes diz para fazer isso assim como ele lhes deu o exemplo.

Santa Ceia

da Páscoa|| align="left" |예수님은 당신의 살과 피를 뜻하는 유월절 떡과 포도주를 제자들에게 먹고 마시게 하여 죄 사함과 영생을 약속하고 새 언약을 세우신다.[31][32][33]Jesus estabelece a Nova Aliança com a promessa da remissão de pecados e a vida eterna ao permitir seus discípulos comerem e beberem o pão e o vinho da Páscoa, que representam a sua carne e o seu sangue.

유월절에 담긴 축복Bênçãos contidas na Páscoa

생의 마지막을 앞두고 예수님이 간절히 원하셨던 일은 제자들과 함께 유월절을 지키는 것이었다.[15] 그날은 예수님이 이 땅에 오신 목적을 이루는 날이었다.[34][35] 예수님은 인류를 구원하러 오셨다. 죄로 인해 죽을 수밖에 없는 인류에게 구원이란 곧 영원한 생명을 얻는 것을 의미한다.[36][31] 예수님은 가버나움 회당에서 가르치실 때, 당신의 살과 피를 먹고 마시지 않으면 생명이 없다고 분명하게 말씀하셨다.[37] 영생 그 자체인 예수님의 살과 피를 먹고 마시는 방법이 바로 유월절이다. 예수님은 제자들에게 유월절을 준비하도록 직접 명하시고,[27] 저녁 식사 자리에서 당신의 살과 피를 표상하는 떡과 포도주를 먹고 마시라고 하셨다.[31] 인류의 구원을 위해 오셨기에 죄 사함과 영생의 축복이 담긴 새 언약 유월절 지키기를 원하고 원하셨던 것이다.O que Jesus queria ansiosamente fazer antes do fim de sua vida era guardar a Páscoa com seus discípulos. Ao fazer isso, Jesus cumpriu o seu propósito de vir a esta terra. Jesus veio para salvar a humanidade. Para a humanidade, que está destinada a morrer por causa de seus pecados, a salvação significa obter a vida eterna. Quando Jesus estava ensinando na sinagoga de Cafarnaum, ele claramente disse que ninguém tem vida se não comer e beber sua carne e seu sangue. A Páscoa é a maneira de comer e beber a carne e sangue de Jesus, que é a vida eterna em si. Jesus ordenou diretamente aos seus discípulos que preparassem a Páscoa, e lhes disse para comer e beber o pão e o vinho que representam a sua carne e o seu sangue na ceia. Já que ele veio para salvar a humanidade, ele desejou ansiosamente guardar a Páscoa da Nova Aliança que contém a promessa da remissão de pecados e a vida eterna.


“Respondeu-lhes Jesus: Em verdade, em verdade vos digo: se não comerdes a carne do Filho do Homem e não beberdes o seu sangue, não tendes vida em vós mesmos. Quem comer a minha carne e beber o meu sangue tem a vida eterna, e eu o ressuscitarei no último dia.”

- 요한복음 João 6:53-54


예수님의 유언, 새 언약Última vontade de Jesus, a Nova Aliança

예수님은 유월절 만찬 석상에서 유월절 포도주를 가리켜 "내 피로 세우는 새 언약"이라고 선포하셨다. 또 이 유월절을 "기념하라", 즉 오래도록 잊지 말고 지키라 말씀하셨다.[33] 새 언약은 예수님이 운명하시기 전날 밤에 선포된 것이므로 예수님의 유언이기도 하다. 그런데 유언은 유언한 사람이 죽었을 때 효력을 갖게 된다.[38] 예수님의 유언인 새 언약 유월절도 예수님의 죽으심으로 효력을 발하게 되었다. 초대교회는 예수님의 십자가 희생 후로도 그리스도의 유언에 따라 계속해서 유월절을 지키며 예수님의 죽으심을 기념했다.[25] 예수님의 사랑과 희생을 기리고 구원의 진리를 전파하기 위해 사도들과 초대교회 성도들은 마음 다해 새 언약을 지키며 환난과 핍박에도 믿음을 잃지 않았다.[39]Na ceia da Páscoa, Jesus proclamou o vinho da Páscoa como a “Nova Aliança no seu sangue”. Ele também disse aos seus discípulos para guardarem a Páscoa “em sua memória”, o que significa que o povo de Deus deve guardá-la até o fim sem se esquecer dela. Já que a Nova Aliança foi proclamada na noite antes da morte de Jesus, é a última vontade de Jesus. Um testamento toma efeito somente quando alguém morre. A Páscoa da Nova Aliança, que é o testamento de Jesus, também, tomou efeito quando Jesus morreu. Mesmo depois do sacrifício de Jesus na cruz, a igreja primitiva continuou a celebrar a Páscoa e comemorou a sua morte. A fim de comemorar o amor e o sacrifício de Jesus e pregar a verdade da salvação, os apóstolos e os membros da igreja primitiva guardaram a Nova Aliança com todo o seu coração, e não perderam a fé mesmo encontrando tribulação e perseguição.


“Lançai fora o velho fermento, para que sejais nova massa, como sois, de fato, sem fermento. Pois também Cristo, nosso Cordeiro pascal, foi imolado. Por isso, celebremos a festa [...]”

- 1 Coríntios 5:7-8


같이 보기Ver Também

관련 영상

  • [팩트플러스] 예수님의 마지막 유언

각주

  1. «"최후의 만찬"». 표준국어대사전. 국립국어원. 『기독교』 예수가 십자가에 매달리기 전날 밤에 열두 제자와 마지막으로 나눈 저녁 식사. ... 종교화의 제재로 주로 쓰이며, 특히 레오나르도 다빈치가 그린 벽화가 유명하다. 
  2. 노성두, "최후의 만찬", 《네이버 미술백과》, 최후의 만찬이란 주제는 초기 그리스도교의 카타콤 벽화에서부터 시작된 서양 종교미술에서 가장 오래된 주제 가운데 하나다.
  3. J. 스티븐 랭, "최후의 만찬", 《바이블 키워드》, 남경태 역, 들녘, 2007, "최후의 만찬은 극적인 긴장감이 있기 때문에 화가들의 큰 관심을 끌었다. 예수는 자신이 처형되리라는 것, 유다가 배반하리라는 것을 알고 있었다. ... 식당 벽에 최후의 만찬을 그린 수도원은 많이 있다. 수사들이 식사할 때마다 역사적으로 중요한 그날의 식사를 떠올렸을 것이다."
  4. 스티븐 파딩, "최후의 만찬(디렉 바우츠 作)", 《죽기 전에 꼭 봐야 할 명화 1001점》, 하지은 외 역, 마로니에북스, 2007
  5. 스티븐 파딩, "최후의 만찬(후안 후아네스 作)", 《죽기 전에 꼭 봐야 할 명화 1001점》, 하지은 외 역, 마로니에북스, 2007
  6. E. H. 곰브리치, "최후의 만찬", 《서양미술사》, 백승길 외 역, 예경, 1997, 〈최후의 만찬〉이야말로 인간의 천재성이 만들어낸 위대한 기적들 중의 하나인 것이다.
  7. «"르네상스 회화 걸작, 다빈치 '최후의 만찬'을 만나다"». 서울신문. 2016. 5. 15. 작품은 500년 전 탄생 순간부터 보는 이들의 감탄을 자아내며 수많은 모사의 대상이 됐다. 20세기 들어서도 앤디 워홀을 비롯해 많은 팝아티스트들이 이미지를 차용해 패러디해 쓰기도 했다.  Verifique data em: |data= (ajuda)
  8. "Church and Dominican Convent of Santa Maria delle Grazie with "The Last Supper" by Leonardo da Vinci," UNESCO
  9. 9,0 9,1 «마태복음 26:20-22». 저물 때에 예수께서 열두 제자와 함께 앉으셨더니 저희가 먹을 때에 이르시되 내가 진실로 너희에게 이르노니 너희 중에 한 사람이 나를 팔리라 하시니 저희가 심히 근심하여 각각 여짜오되 주여 내니이까 
  10. E. H. 곰브리치, "최후의 만찬", 《서양미술사》, 백승길 외 역, 예경, 1997, 296쪽, 레오나르도는 그 이전의 조토처럼 성경의 본문으로 돌아가서 예수가 "나는 분명히 말한다. 너희 가운데 한 사람이 나를 배반할 것이다"라고 하자 사도들이 너무 슬퍼서 모두가 예수께 "주여, 나니이까?"라고 말하는 장면이 과연 어떠했을까를 눈앞에 그려보려고 노력했다.
  11. «요한복음 13:21-22». 예수께서 이 말씀을 하시고 심령에 민망하여 증거하여 가라사대 내가 진실로 진실로 너희에게 이르노니 너희 중 하나가 나를 팔리라 하시니 제자들이 서로 보며 뉘게 대하여 말씀하시는지 의심하더라 
  12. E. H. 곰브리치, "최후의 만찬", 《서양미술사》, 백승길 외 역, 예경, 1997, 296-297쪽, 이 장면에서 운동감을 불러일으킨 것이 바로 이 질문과 몸짓이었다. 예수는 방금 비극적인 말을 했고 그의 곁에 있던 사람들은 이 계시를 듣고 공포에 놀라 뒤로 움츠리고 있다. 어떤 사도는 그들의 사랑과 죄 없음을 호소하는 것 같고, 또 어떤 사람들은 주님이 누구를 지칭했는지 심각하게 논의하는 것처럼 보이며, 또 다른 사도들은 예수가 방금 말한 것을 설명해 달라고 예수를 쳐다보는 것처럼 보인다.
  13. «"산타 마리아 델레 그라치에 교회와 도미니크 수도원 및 레오나르도 다빈치의 '최후의 만찬'"». 유네스코와 유산 
  14. "Last Supper," Encyclopaedia Britannica
  15. 15,0 15,1 15,2 15,3 «누가복음 22:15-20». 내가 고난을 받기 전에 너희와 함께 이 유월절 먹기를 원하고 원하였노라 ... 또 을 가져 사례하시고 떼어 저희에게 주시며 가라사대 이것은 너희를 위하여 주는 내 몸이라 너희가 이를 행하여 나를 기념하라 하시고 저녁 먹은 후에 도 이와 같이 하여 가라사대 이 잔은 내 피로 세우는 새 언약이니 곧 너희를 위하여 붓는 것이라 
  16. «"파격, 긴장, 합리... '최후의' 르네상스 정신"». 공감. 605호 
  17. E. H. 곰브리치, "최후의 만찬", 《서양미술사》, 백승길 외 역, 예경, 1997, 296쪽, 성경 이야기가 이처럼 가깝고 실감나게 그려진 적은 일찍이 한 번도 없었다. 그것은 마치 또 하나의 홀이 수도사의 홀과 이어져 그 안에서 최후의 만찬이 이루어지고 손을 대면 만져볼 수 있을 것처럼 느껴졌었으리라.
  18. «"불후의 명작이 넝마쪼가리로 변하다"». 주간동아. 343호. 폭우 때문에 교회 바닥이 아예 물에 잠긴 적도 있었다. ... 1943년 이번에는 수도원 전체가 내려앉았다. 지붕과 벽체가 공습을 받고 폭삭 주저앉은 것이었다. 
  19. «"다빈치의 '최후의 만찬' 복원"». 조선일보. 1999. 5. 6.  Verifique data em: |data= (ajuda)
  20. «"단 15분 만에... 걸작의 아우라에 빠지다"». 서울신문. 2016. 6. 17. 다빈치 '최후의 만찬' 앞 머물 수 있는 시간은 15분  Verifique data em: |data= (ajuda)
  21. "Leonardo da Vinci," HISTORY, Dec. 2. 2009, The first is da Vinci's "The Last Supper," painted during his time in Milan, from about 1495 to 1498. ... It depicts the Passover dinner during which Jesus Christ addresses the Apostles and says, "One of you shall betray me."
  22. «"만찬"». 표준국어대사전. 국립국어원. 「1」저녁 식사로 먹기 위하여 차린 음식. 「2」손님을 초대하여 함께 먹는 저녁 식사. 
  23. «레위기 23:5». 정월 십사 일 저녁은 여호와의 유월절이요 
  24. «누가복음 22:15». 내가 고난을 받기 전에 너희와 함께 이 유월절 먹기를 원하고 원하였노라 
  25. 25,0 25,1 «고린도전서 11:23-26». 내가 너희에게 전한 것은 주께 받은 것이니 곧 주 예수께서 잡히시던 밤에 떡을 가지사 축사하시고 떼어 가라사대 이것은 너희를 위하는 내 몸이니 이것을 행하여 나를 기념하라 하시고 식후에 또한 이와 같이 잔을 가지시고 가라사대 이 잔은 내 피로 세운 새 언약이니 이것을 행하여 마실 때마다 나를 기념하라 하셨으니 너희가 이 떡을 먹으며 이 잔을 마실 때마다 주의 죽으심을 오실 때까지 전하는 것이니라 
  26. 26,0 26,1 «요한복음 13:14-15». 내가 주와 또는 선생이 되어 너희 발을 씻겼으니 너희도 서로 발을 씻기는 것이 옳으니라 내가 너희에게 행한 것같이 너희도 행하게 하려 하여 본을 보였노라 
  27. 27,0 27,1 «마태복음 26:17-19». 무교절의 첫날에 제자들이 예수께 나아와서 가로되 유월절 잡수실 것을 우리가 어디서 예비하기를 원하시나이까 가라사대 성안 아무에게 가서 이르되 선생님 말씀이 내 때가 가까웠으니 내 제자들과 함께 유월절을 네 집에서 지키겠다 하시더라 하라 하신대 제자들이 예수의 시키신 대로 하여 유월절을 예비하였더라 
  28. «마가복음 14:12-16». 무교절의 첫날 곧 유월절 양 잡는 날에 제자들이 예수께 여짜오되 우리가 어디로 가서 선생님으로 유월절을 잡수시게 예비하기를 원하시나이까 하매 예수께서 제자 중에 둘을 보내시며 가라사대 성내로 들어가라 그리하면 물 한 동이를 가지고 가는 사람을 만나리니 그를 따라 가서 어디든지 그의 들어가는 그 집주인에게 이르되 선생님의 말씀이 내가 내 제자들과 함께 유월절을 먹을 나의 객실이 어디 있느뇨 하시더라 하라 그리하면 자리를 베풀고 예비된 큰 다락방을 보이리니 거기서 우리를 위하여 예비하라 하신대 제자들이 나가 성내로 들어가서 예수의 하시던 말씀대로 만나 유월절을 예비하니라 
  29. «누가복음 22:7-13». 유월절 양을 잡을 무교절일이 이른지라 예수께서 베드로와 요한을 보내시며 가라사대 가서 우리를 위하여 유월절을 예비하여 우리로 먹게 하라 여짜오되 어디서 예비하기를 원하시나이까 ... 저희가 나가 그 하시던 말씀대로 만나 유월절을 예비하니라 
  30. «요한복음 13:1-5». 유월절 전에 예수께서 자기가 세상을 떠나 아버지께로 돌아가실 때가 이른 줄 아시고 세상에 있는 자기 사람들을 사랑하시되 끝까지 사랑하시니라 ... 저녁 잡수시던 자리에서 일어나 겉옷을 벗고 수건을 가져다가 허리에 두르시고 이에 대야에 물을 담아 제자들의 발을 씻기시고 그 두르신 수건으로 씻기기를 시작하여 
  31. 31,0 31,1 31,2 «마태복음 26:26-28». 저희가 먹을 때에 예수께서 떡을 가지사 축복하시고 떼어 제자들을 주시며 가라사대 받아 먹으라 이것이 내 몸이니라 하시고 또 잔을 가지사 사례하시고 저희에게 주시며 가라사대 너희가 다 이것을 마시라 이것은 죄 사함을 얻게 하려고 많은 사람을 위하여 흘리는 바 나의 피 곧 언약의 피니라 
  32. «마가복음 14:22-24». 저희가 먹을 때에 예수께서 떡을 가지사 축복하시고 떼어 제자들에게 주시며 가라사대 받으라 이것이 내 몸이니라 하시고 또 잔을 가지사 사례하시고 저희에게 주시니 다 이를 마시매 가라사대 이것은 많은 사람을 위하여 흘리는 바 나의 피 곧 언약의 피니라 
  33. 33,0 33,1 «누가복음 22:19-20». 또 떡을 가져 사례하시고 떼어 저희에게 주시며 가라사대 이것은 너희를 위하여 주는 내 몸이라 너희가 이를 행하여 나를 기념하라 하시고 저녁 먹은 후에 잔도 이와 같이 하여 가라사대 이 잔은 내 피로 세우는 새 언약이니 곧 너희를 위하여 붓는 것이라 
  34. «누가복음 19:10». 인자의 온 것은 잃어버린 자를 찾아 구원하려 함이니라 
  35. «요한복음 10:10». 도적이 오는 것은 도적질하고 죽이고 멸망시키려는 것뿐이요 내가 온 것은 양으로 생명을 얻게 하고 더 풍성히 얻게 하려는 것이라 
  36. «로마서 6:23». 죄의 삯은 사망이요 하나님의 은사는 그리스도 예수 우리 주 안에 있는 영생이니라 
  37. «요한복음 6:53-54». 예수께서 이르시되 내가 진실로 진실로 너희에게 이르노니 인자의 살을 먹지 아니하고 인자의 피를 마시지 아니하면 너희 속에 생명이 없느니라 내 살을 먹고 내 피를 마시는 자는 영생을 가졌고 마지막 날에 내가 그를 다시 살리리니 
  38. «히브리서 9:15-17». 이를 인하여 그는 새 언약의 중보니 이는 첫 언약 때에 범한 죄를 속하려고 죽으사 부르심을 입은 자로 하여금 영원한 기업의 약속을 얻게 하려 하심이니라 유언은 유언한 자가 죽어야 되나니 유언은 그 사람이 죽은 후에야 견고한즉 유언한 자가 살았을 때에는 언제든지 효력이 없느니라 
  39. «히브리서 11:33-38» 

분류:성경 상식 분류:새 언약 복음 분류:아버지 하나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