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ulto

Revisão em 07h42min de 14 de março de 2025 por Hw1440 (discussão | contribs)

예배(禮拜, Worship)는 '예도 예(禮)', '절, 굽힐 배(拜)' 자를 써서 '예를 갖추어 절하다, 경의를 표하다'라는 뜻이다. 넓게 보면 구약시대 제사를 포함해 형태나 방식에 구애받지 않고 자신을 낮추어 하나님께 경의를 표하는 행위 전부를 예배라고 표현할 수 있으나, 보통은 기도와 찬양 등의 일정한 형식을 갖춘 예법의 의미로 사용될 때가 많다.A palavra culto significa “honrar ou mostrar reverência a um ser divino”. Falando amplamente, o culto pode se referir a qualquer ato de se humilhar para honrar a Deus, incluindo sacrifícios dos tempos do Antigo Testamento. Contudo, é normalmente usado para descrever o ato de servir a Deus de determinada forma como oração ou louvor.

Culto no Templo da Nova Jerusalém em Pangyo, da Igreja de Deus Sociedade Missionária Mundial

구약의 제사O Sacrifício no Antigo Testamento

 
Sacrifício oferecido pelo sumo sacerdote com um animal

구약시대에는 제사를 통해 하나님께 예배했다. 제사의 기원은 인류의 시조인 아담의 시대까지 거슬러 올라간다. 아담의 아들 가인과 아벨은 각각 자신의 방식대로 하나님께 제사드렸다. 하나님은 양의 희생으로 드린 아벨의 제사는 기쁘게 받으셨지만 농산물로 행한 가인의 제사는 거부하셨다.[1] 이를 통해 하나님께서 원하는 제사 방식이 짐승의 희생으로 드려진 제사임을 알 수 있다. 이후 여러 믿음의 선진들은 아벨의 제사 방법을 좇아 짐승의 희생으로 제사를 드렸다.[2][3][4] 짐승의 피를 흘리는 제사 방식은 모세 때에 이르러 성문화된 율법으로 확립됐다. 구약시대 이스라엘 백성들은 율법을 좇아 매일 오전과 오후에 상번제(常燔祭, 항상 드리는 번제)를 드리고, 매주 안식일과 매년 3차의 7개 절기를 따라 제사를 행하며 하나님과 교통했다. 이 밖에 상시적으로 목적과 필요에 맞는 제물을 가져와 개인적인 제사도 드렸다.Nos tempos do Antigo Testamento, o povo adorava Deus através de sacrifícios. A origem do sacrifício data do tempo de Adão, o progenitor da humanidade. Os filhos de Adão, Caim e Abel, cada um apresentou ofertas a Deus da sua própria maneira. Deus aceitou o sacrifício de Abel oferecido com uma ovelha, mas ele rejeitou o sacrifício de Caim oferecido com os frutos da terra. Deus queria o sacrifício oferecido através do sacrifício de animais. Desde então, muitos antepassados da fé ofereceram sacrifício de animais, seguindo o exemplo de Abel. O sacrifício de derramar o sangue de animais foi estabelecido como uma lei codificada no tempo de Moisés. Nos tempos do Antigo Testamento, os israelitas comungavam com Deus ao oferecer o holocausto diário de manhã e de tarde, oferecendo sacrifícios em todos os sábados e nas sete festas de três tempos todos os anos de acordo com a lei. Além disso, eles traziam ofertas adequadas para seu propósito e necessidade e ofereciam a Deus.


구약시대 제사의 종류Tipos de sacrifícios no Antigo Testamento

구약시대 성소에서 이루어지던 제사 의식은 종류나 방법, 명칭 등이 비슷하거나 중복되어 있어 정확하게 구분하기 쉽지 않다. 다만 제사를 드리는 목적, 제물, 방법에 따라 대략 다음과 같이 분류할 수 있다.Os rituais de sacrifícios realizados no santuário nos tempos do Antigo Testamento eram similares ou duplicados em tipos, métodos e nomes, por isso não é fácil distingui-los precisamente. Contudo, de acordo com o propósito, oferta e método, eles podem ser classificados como segue:

  • 목적에 따른 분류·   Classificação por propósito
크게 속죄제, 속건제, 화목제로 나뉜다. 속죄제와 속건제는 모두 죄에 대한 속량의 의미를 담고 있다. 하나님께 죄를 범했을 때는 주로 속죄제를, 사람과 사람 사이의 사회적인 법을 어겼을 때는 대체로 속건제를 드렸다. 화목제는 죄를 용서해 주신 하나님의 은혜에 감사하거나 하나님께 소원을 빌 때 올리던 제사로, 제물을 드린 사람이 제사장과 함께 제물을 먹을 수 있었다.É amplamente dividido em oferta pelo pecado, oferta pela culpa e oferta pacífica. Tanto a oferta pelo pecado, quanto à oferta pela culpa, contém o significado da redenção do pecado. Quando eles pecavam contra Deus, eles geralmente ofereciam uma oferta pelo pecado; e quando eles violavam as leis sociais entre os homens, eles geralmente ofereciam uma oferta pela culpa. A oferta pacífica era oferecida para dar graças a Deus pela remissão de pecados ou para orar a Deus. A pessoa que oferecia o sacrifício podia comer a oferta junto com o sacerdote.
  • 제물에 따른 분류·   Classificação pela oferta
번제와 소제, 전제로 구분할 수 있다. 번제는 기본적이며 가장 많이 드려지던 제사로 짐승을 불사르는 방식으로 이루어졌다. 소제는 곡물로 드리는 제사인데, 밀가루와 기름과 유향을 불태우고 떡을 구워놓고 드리는 등 몇몇 방식이 있었다. 전제는 포도주 등을 부어서 행하는 제사였다. 번제는 소제나 전제와 함께 드려졌다.[5][6]Pode ser classificado como holocausto, oferta de manjares e libação. O holocausto era o sacrifício mais básico e comum, e era concluído ao queimar um animal. A oferta de manjares era uma oferta apresentada com grãos, e havia várias maneiras como queimar farinha, azeite e incenso e assar pão. A oferta de libação era um sacrifício feito ao derramar vinho etc. O holocausto era oferecido junto com a oferta de manjares ou libação.
  • 방법에 따른 분류Classificação pelo método
화제, 거제, 요제가 있다. 화제는 불에 태워 드리는 제사로 번제물과 일부 소제물은 화제로 드려졌다. 거제는 제물을 들어서 드리는 제사이며 요제는 제물을 흔들어 드리는 제사인데 초실절에 첫 이삭 한 단을 요제로 드렸다.Havia uma oferta com fogo, uma oferta voluntária, e uma oferta movida. Holocaustos e algumas ofertas de manjares eram oferecidos com fogo. Uma oferta voluntária era uma oferta que era apresentada a Deus ao levantar; e oferta movida era uma oferta que era apresentada ao movê-la. Na Festa das Primícias, um molho dos primeiros grãos era movido e apresentado a Deus.

신약의 예배O Culto no Novo Testamento

제사에서 예배로Do sacrifício para culto

구약의 율법은 장차 오는 좋은 일의 그림자로서, 실체로 등장할 신약의 예표다.[7] 모세 율법을 따라 제사장들은 짐승의 희생의 피로 제사를 드렸다. 짐승을 희생시키는 방식으로 죄 사함 받게 하는 구약시대의 제사는 장차 그리스도가 인류의 죄를 대신해서 희생당하실 것을 보여주는 예언이다. 구약시대 희생제물의 피는 예수님십자가에서 흘리신 보혈(寶血)을 상징한 것이다.[8] 예수님이 영원한 속죄 제물로 희생하셨기 때문에 더 이상 구약의 제사를 행할 필요가 없어졌다.[9][10] 신약시대에는 신령과 진정의 예배를 드림으로 예수님의 희생을 덧입어 죄 사함과 축복을 받는다.A lei do Antigo Testamento é uma sombra dos bens vindouros; representa a lei do Novo Testamento, que é a realidade. De acordo com a Lei de Moisés, os sacerdotes ofereceram holocaustos com o sangue dos sacrifícios de animais. O sacrifício do Antigo Testamento, que concedia a remissão de pecados ao sacrificar animais é uma profecia que mostra que Cristo será sacrificado pelos pecados da humanidade no futuro. O sangue de sacrifícios do Antigo Testamento simbolizou o precioso sangue derramado por Jesus na cruz. Já que Jesus se sacrificou como eterna oferta pelo pecado, não havia mais necessidade para os sacrifícios do Antigo Testamento. Nos tempos do Novo Testamento, nós recebemos a remissão de pecados e as bênçãos através do sacrifício de Jesus, dando cultos em espírito e em verdade.

 
Jesus ensina a mulher samaritana a adorar a Deus em espírito e em verdade.

예수님의 가르침Ensinamentos de Jesus

“Disse-lhe Jesus: Mulher, podes crer-me que a hora vem, quando nem neste monte, nem em Jerusalém adorareis o Pai. [...] Mas vem a hora e já chegou, em que os verdadeiros adoradores adorarão o Pai em espírito e em verdade; porque são estes que o Pai procura para seus adoradores.”

- João 4:21-23


예수님 당시 예루살렘에서는 매일 구약의 율법대로 짐승을 희생 제물로 드리는 제사가 이루어졌는데, "예루살렘에서도 말고"라는 예수님의 말씀은 더 이상 구약의 방식대로 제사할 필요가 없다는 뜻이다. 신약시대에는 예수님이 본보이시고 사도들이 행한 신령과 진정의 예배를 드린다.Nos dias de Jesus, os animais eram sacrificados todos os dias de acordo com a lei do Antigo Testamento em Jerusalém. Contudo, Jesus disse “nem em Jerusalém”, implicando que não é mais necessário sacrificar animais de acordo com o Antigo Testamento. Nos tempos do Novo Testamento, as pessoas adoram a Deus em espírito e em verdade, assim como Jesus mostrou o exemplo e os apóstolos guardaram o exemplo seguindo Jesus.

예배의 목적O Propósito do Culto

죄 사함 받고 하나님과 화목하기 위함Para receber a remissão de pecados e se reconciliar com Deus

예배를 드리는 가장 큰 목적 중 하나는 죄 사함이다. 죄 때문에 하나님과 멀어졌던 인류가 죄 사함을 얻고 하나님께 나아가는 유일한 예식이 예배다.[11][12][13] 구약시대에는 죄를 사함 받기 위해 짐승을 희생시켜서 그 피로 예배(제사)를 드렸다. 신약시대에는 어린양으로 표상된 그리스도가 친히 인류의 죄 사함을 위하여 희생하셨다.[14] 이로써 뭇 사람들이 죄악의 사슬에서 해방되었고, 죄로 인해 멀어졌던 하나님과 화목(和睦)할 수 있는 길이 열렸다.[15] 죄인 된 인류를 위해 희생하신 그리스도의 사랑을 기억하고 기념하기 위해 인류는 하나님께 예배를 드려야 한다.Um dos maiores propósitos do culto é a remissão de pecados. O culto é a única cerimônia para a humanidade, que foi separada de Deus por causa de seus pecados, receber a remissão de pecados e chegar a Deus. Nos tempos do Antigo Testamento, os israelitas sacrificavam animais para serem perdoados dos seus pecados, e eles ofereciam os cultos (sacrifícios) com o sangue de animais. Nos tempos do Novo Testamento, contudo, Cristo mesmo, representado como o Cordeiro, se sacrificou pela remissão de pecados da humanidade. Através disso, as pessoas foram libertadas das cadeias do pecado, e o caminho foi aberto para se reconciliarem com Deus, de quem eles haviam se separado por causa de seus pecados. A fim de lembrar e comemorar o amor de Cristo que se sacrificou pela humanidade, os pecadores, devemos oferecer o culto a Deus.

하나님과의 관계를 확인하기 위함Para confirmar o relacionamento com Deus

하나님과 하나님 백성은 예배를 통해 영적으로 만남을 갖고 교통한다. 하나님은 제사, 곧 예배로 하나님 백성과 언약했다고 말씀하셨다.[16] 예배는 성도들에게 창조주 하나님과 맺은 언약을 공고히 하고 하나님을 확신하며 섬길 수 있도록 제정된 것이다. 성도들은 예배를 통해 하나님과의 관계를 부모와 자녀, 왕과 백성, 창조주와 피조물로 재삼 인식한다. 세상에는 수많은 신(神)과 주(主)가 있는데,[17] 하나님만을 온전히 섬기지 못하면 멸망에 이를 수밖에 없다.[18] 예배를 통해 성도들이 참 하나님만을 섬기게 되므로 하나님과 끊을 수 없는 사랑의 줄로 더욱 단단하게 맺어지게 된다.[19][20]Deus e seu povo se encontram e se comunicam espiritualmente através do culto. Deus disse que ele fez uma aliança com o seu povo através do sacrifício, isto é, o culto. O culto é dado para fortalecer a aliança que os santos têm feito com o Deus Criador e servir a ele com convicção. Através do culto, as pessoas reconhecem seu relacionamento com Deus como pais e filhos, rei e povo, criador e criaturas. Há muitos deuses e senhores no mundo; caso não sirva apenas a Deus completamente, não pode evitar a destruição. Através do culto, os santos servem apenas o verdadeiro Deus, o que lhes permite se tornar mais conectados com Deus com uma corda de amor inseparável.[21]

하나님께 감사와 영광을 돌리기 위함Para dar graças e glórias a Deus

하나님은 만유를 지은 창조자시다. 인류에게 생명과 호흡을 주고 죄인 된 인류를 구원하며 진리의 말씀으로 천국을 약속한 분이시다. 하나님은 사람들이 알지 못하는 가운데 구속의 섭리를 세우고 그 뜻대로 이루어가신다.Deus é o Criador de todas as coisas no universo. Ele deu a vida e fôlego aos seres humanos, salvou eles que tinham se tornado pecadores, e lhes prometeu o reino dos céus através das palavras da verdade. Deus estabeleceu o plano da redenção e cumpre sua vontade enquanto as pessoas não a compreendem.


“Tu és digno, Senhor e Deus nosso, de receber a glória, a honra e o poder, porque todas as coisas tu criaste, sim, por causa da tua vontade vieram a existir e foram criadas.”

- Apocalipse 4:11


성도들은 하나님의 사랑과 관심 속에 날마다 은혜를 입으며 살아간다. 영광과 존귀와 감사를 받기에 합당하신 하나님께 예배드리는 일은 구원받을 성도들이 마땅히 행해야 할 예식이다.O povo de Deus vive na graça de Deus, recebendo seu amor e cuidado todos os dias. Dar culto a Deus, que é digno de receber glória, honra e graças, é um ritual que os santos devem realizar.

예배의 축복As Bênçãos do Culto

예배에는 하나님을 섬기는 자들에게 천국 백성의 자격과 자녀의 권세, 마침내는 복을 주시려는 하나님의 뜻이 담겨 있다. 하나님의 백성들이 신령과 진정으로 감사와 영광을 돌리고 기도를 올릴 때, 하나님은 약속하신 수많은 축복을 허락해 주신다. 예배의 축복은 구약의 제사에 담긴 하나님의 약속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O culto contém a vontade de Deus de abençoar àqueles que servem a Deus com o direito de povo celestial e filhos de Deus, e também de fazer tudo ir bem com eles no final. Quando o povo de Deus dá graças e glórias a Deus em espírito e em verdade, Deus garante a eles muitas bênçãos. A bênção do culto pode ser confirmada através das promessas de Deus contidas nos sacrifícios do Antigo Testamento.

  • 구약의 제사는 죄 때문에 하나님과 멀어졌던 죄인이[11] 죄 사함 받고 하나님께 나아갈 수 있는 유일한 방법이었다.[22][23] 죄 사함은 구원을 소망하는 성도가 예배를 드리는 목적이기도 하지만 그 자체가 하나님이 허락하시는 큰 축복이다.·  O sacrifício do Antigo Testamento era a única maneira para os pecadores, que foram separados de Deus por causa de seus pecados, receberem a remissão de pecados e alcançar a Deus. A remissão de pecados é o propósito do culto para os santos que esperam pela salvação, e também é uma grande bênção de Deus.
  • 제사(예배)를 드리면 영육 간 형통함을 얻게 된다. 솔로몬은 일천 번제를 드림으로 하나님께 지혜를 얻어 당대 최고로 지혜로운 왕이 되었고, 하나님의 축복 속에서 나라를 크게 흥하게 했다.[24] 법궤(언약궤)를 모셔 놓은 오벧에돔의 집이 큰 축복을 받은 것도 성전에서 하나님을 섬기며 예배하는 성도들이 축복을 받게 된다는 사실을 보여준다.[25]·  Quando oferecemos um sacrifício (culto), podemos prosperar tanto física quanto espiritualmente. Salomão recebeu a sabedoria de Deus ao oferecer mil holocaustos e se tornar o rei mais sábio do seu tempo, e sua sabedoria prosperou muito sob a bênção de Deus.A casa de Obede-Edom, onde a Arca de Aliança era guardada, foi muito abençoada, o que mostra que aqueles que dão culto e servem a Deus no templo serão abençoados.
  • 하나님의 계명대로 예배를 드리면 영적인 지혜와 총명의 축복도 주어진다. 이사야 선지자는 사람의 계명을 지키면 지혜와 총명을 빼앗긴다고 예언했다.[26] 사람의 계명은 일요일 예배크리스마스와 같이 성경에 없는 거짓 예배를 말한다. 성경에 없는 거짓 예배, 즉 사람의 계명을 행하면 결코 천국에 들어갈 수 없다. 하나님이 명하신 예배와 절기를 지켜야만 그리스도의 보혈의 피를 힘 입어 지혜와 총명을 허락받아 하나님의 비밀과 구속의 경륜을 온전히 깨달을 수 있다.[27]·  Quando guardamos o culto de acordo com os mandamentos de Deus, receberemos a bênção da sabedoria espiritual e entendimento. O profeta Isaías profetizou que as pessoas perderão a sabedoria e entendimento se obedecerem aos estatutos dos homens. Os estatutos dos homens se referem aos falsos cultos como o culto dominical e o Natal que não são encontrados na Bíblia. Se praticarmos o falso culto, isto é, os estatutos de homens que não se encontram na Bíblia, nunca entraremos no reino dos céus. Somente quando guardarmos os cultos e as festas ordenadas por Deus, poderemos receber a sabedoria e entendimento através do sangue de Cristo, para que possamos compreender completamente o mistério de Deus e a administração da redenção.
  • 절기 예배에 담긴 의미와 축복은 더욱 특별하다. 3차의 7개 절기에는 각각의 절기에 고유한 하나님의 축복이 약속되어 있으므로, 절기 예배를 지키면 다양한 하나님의 축복을 모두 받을 수 있다. 죄 사함과 영생, 재앙에서 보호받는 축복, 부활의 산 소망, 승천의 약속과 성령 축복 등 수많은 축복을 받을 수 있는 통로가 절기 예배다. 주간 절기인 안식일 예배에는 하나님의 백성으로 인정받아 영원한 안식에 들어갈 수 있는 축복이 약속되어 있다.·  O significado e a bênção contidos no culto das festas são ainda mais especiais. Já que diferentes bênçãos de Deus estão prometidas em cada uma das sete festas de três tempos, podemos receber as bênçãos quando guardamos o culto das festas. Os cultos das festas são a passagem pela qual nós podemos receber numerosas bênçãos como a remissão de pecados, a vida eterna, a bênção de ser protegido dos desastres, a esperança viva da ressurreição, a promessa da ascensão e os dons do Espírito Santo. No culto do dia de sábado, que é uma festa semanal, é prometida a bênção de ser reconhecido como o povo de Deus e entrar no eterno descanso.

예배드리는 날Dia de Culto

하나님이 구분하신 주간 절기와 연간 절기에 따라 규례대로 예배한다.[28]O povo de Deus guarda as festas semanais e as festas anuais de acordo com os estatutos.

주간 절기Festas semanais

  • 안식일: 안식일은 주간 절기로, 창조주 하나님의 권능을 기념하는 날이다. 성경이 말하는 안식일은 일곱째 날 토요일이다.·   DIA DE SÁBADO: O sábado é uma festa semanal que celebra o poder de Deus Criador. O dia de repouso na Bíblia é o sétimo dia, o sábado.
  • 삼일 예배: 정결함의 축복이 있는 삼일 예배가 제3일인 화요일 저녁에 진행된다.[29]·   CULTO DO TERCEIRO DIA: O culto do terceiro dia, no qual podemos receber a bênção de ser purificados, é realizado na terça-feira à noite, o terceiro dia da semana.

연간 절기Festas anuais

해마다 지켜야 할 절기에는 유월절, 무교절, 부활절(초실절), 오순절(칠칠절), 나팔절, 대속죄일, 초막절이 있다. 3차에 걸쳐 지켜지는 7개의 절기에는 고유의 예언적 의미와 축복이 담겨 있다.Em relação às festas anuais, há a Páscoa, a Festa dos Pães Asmos, o Dia da Ressurreição (Festa das Primícias), o Dia de Pentecostes (Festa das Semanas), a Festa das Trombetas, o Dia da Expiação, e a Festa dos Tabernáculos. Cada uma das sete festas, que são observadas em três tempos, tem seu próprio significado e bênçãos.

특별 예배Culto especial

특별 예배는 특별한 목적이 있을 때 드리는 예배다. 교회에서 기념 예배를 드리거나 가정에서 구역예배, 심방예배 등을 행할 수 있다.Um culto especial é realizado quando há um propósito especial. Cultos especiais podem ser oferecidos em ocasiões especiais.

예배의 형식Formas de Culto

성경에 표준화된 예배 예식이 기록되어 있지 않지만 예수님과 사도들의 행적을 통해 초대교회 예배 형식을 대략적으로 알 수 있다. 초대교회 당시에는 성도들의 집부터 야외 공간까지 다양한 곳에서 예배가 이루어졌는데, 때로는 유대인들이 많이 모이는 회당에서 예배를 드리기도 했다.Ainda que não haja cultos padronizados registrados na Bíblia, o formato de culto da igreja primitiva é visto através da obra de Jesus e dos apóstolos. Na igreja primitiva, o culto era realizado em vários lugares: casas dos santos, espaços externos, sinagogas onde muitos judeus se reuniam etc.

  • 설교: 예수님은 안식일에 회당에서 설교하는 본을 보이셨다.[30][31] 사도들도 회당에서 예배를 드리며 설교했다.[32]·  SERMÃO: Jesus deu o exemplo de dar o sermão em uma sinagoga no sábado. Os apóstolos também deram um sermão enquanto davam culto na sinagoga.
  • 기도: 예배는 곧 기도의 시간이기도 했다. 바울과 실라가 안식일 예배를 위한 공간을 찾던 것을 성경에서는 그들이 기도처를 찾았다고 기록하고 있다.[33]·  ORAÇÃO: O culto também foi um momento de oração. Quanto ao fato de Paulo e Silas estarem procurando um lugar para guardar o dia de sábado, a Bíblia registra que “esperavam encontrar um lugar de oração”.
  • 찬송: 예배 때 찬송도 함께 이루어졌다. 사도 바울은 모일 때 찬송과 말씀 가르치는 일 등을 질서대로 하라고 가르쳤다.[34]
  • 절기 예식: 절기 예배는 그 의미를 따라 특별한 예식을 함께 행하기도 했다. 성경에는 유월절에 성찬예식을 행한 일과 부활절에 떡을 뗀 일이 기록되어 있다.[35][36]·  LOUVOR: O ato de louvar também foi acompanhado durante o culto. O apóstolo Paulo ensinou que os santos devem louvar, ensinar a palavra de Deus, entre outras coisas, de uma maneira ordenada quando se reúnem.

같이 보기Ver Também

각주Referências

  1. «Gênesis 4:1-5» 
  2. «Gênesis 8:20-21» 
  3. «Gênesis 12:7» 
  4. «Gênesis 15:9» 
  5. «Êxodo 29:41-42» 
  6. «Números 15:5-6» 
  7. «Hebreus 10:1» 
  8. «Hebreus 7:27» 
  9. «Romanos 5:6-11» 
  10. «Hebreus 10:8-18» 
  11. 11,0 11,1 «Isaías 59:1-2» 
  12. «Levítico 4:13-20» 
  13. «Levítico 5:18-19» 
  14. «1 Coríntios 5:7» 
  15. «Efésios 2:12-19» 
  16. «Salmos 50:4-5» 
  17. «1 Coríntios 8:5» 
  18. «Jeremias 10:11» 
  19. «Levítico 26:12» 
  20. «João 4:23» 
  21. «João 4:23» 
  22. «레위기 4:13–20». 만일 이스라엘 온 회중이 여호와의 금령 중 하나라도 그릇 범하여 허물이 있으나 스스로 깨닫지 못하다가 그 범한 죄를 깨달으면 회중은 수송아지를 속죄제로 드릴지니 ... 제사장이 그것으로 회중을 위하여 속죄한즉 그들이 사함을 얻으리라 
  23. «레위기 5:18–19». 만일 누구든지 여호와의 금령 중 하나를 부지중에 범하여도 허물이라 벌을 당할 것이니 그는 너의 지정한 가치대로 떼 중 흠 없는 숫양을 속건 제물로 제사장에게로 가져올 것이요 제사장은 그의 부지중에 그릇 범한 허물을 위하여 속한즉 그가 사함을 얻으리라 이는 속건제니 그가 실로 여호와 앞에 범과함이니라 
  24. «열왕기상 3:4–14». 왕이 제사하러 기브온으로 가니 거기는 산당이 큼이라 솔로몬이 그 단에 일천 번제를 드렸더니 ... 내[하나님]가 네 말대로 하여 네게 지혜롭고 총명한 마음을 주노니 너의 전에도 너와 같은 자가 없었거니와 너의 후에도 너와 같은 자가 일어남이 없으리라 내가 또 너의 구하지 아니한 부와 영광도 네게 주노니 네 평생에 열왕 중에 너와 같은 자가 없을 것이라 네가 만일 네 아비 다윗의 행함같이 내 길로 행하며 내 법도와 명령을 지키면 내가 또 네 날을 길게 하리라 
  25. «사무엘하 6:9-11». 다윗이 그날에 여호와를 두려워하여 가로되 여호와의 궤가 어찌 내게로 오리요 하고 여호와의 궤를 옮겨 다윗성 자기에게로 메어 가기를 즐겨하지 아니하고 치우쳐 가드 사람 오벧에돔의 집으로 메어 간지라 여호와의 궤가 가드 사람 오벧에돔의 집에 석 달을 있었는데 여호와께서 오벧에돔과 그 온 집에 복을 주시니라 
  26. «이사야 29:13-14». 주께서 가라사대 이 백성이 입으로는 나를 가까이하며 입술로는 나를 존경하나 그 마음은 내게서 멀리 떠났나니 그들이 나를 경외함은 사람의 계명으로 가르침을 받았을 뿐이라 그러므로 내가 이 백성 중에 기이한 일 곧 기이하고 가장 기이한 일을 다시 행하리니 그들 중의 지혜자의 지혜가 없어지고 명철자의 총명이 가리워지리라 
  27. «에베소서 1:7-9». 우리가 그리스도 안에서 그의 은혜의 풍성함을 따라 그의 피로 말미암아 구속 곧 죄 사함을 받았으니 이는 그가 모든 지혜와 총명으로 우리에게 넘치게 하사 그 뜻의 비밀을 우리에게 알리셨으니 곧 그 기쁘심을 따라 그리스도 안에서 때가 찬 경륜을 위하여 예정하신 것이니 
  28. «레위기 23:1-44». 여호와께서 모세에게 일러 가라사대 이스라엘 자손에게 고하여 이르라 너희가 공포하여 성회를 삼을 여호와의 절기는 이러하니라 엿새 동안은 일할 것이요 일곱째 날은 쉴 안식일이니 성회라 너희는 무슨 일이든지 하지 말라 이는 너희 거하는 각처에서 지킬 여호와의 안식일이니라 기한에 미쳐 너희가 공포하여 성회로 삼을 여호와의 절기는 이러하니라 정월 십사 일 저녁은 여호와의 유월절이요 
  29. «민수기 19:1–22». 사람의 시체를 만진 자는 칠 일을 부정하리니 그는 제삼일과 제칠일에 이 잿물로 스스로 정결케 할 것이라 그리하면 정하려니와 제삼일과 제칠일에 스스로 정결케 아니하면 그냥 부정하니 ... 그 정한 자가 제삼일과 제칠일에 그 부정한 자에게 뿌려서 제칠일에 그를 정결케 할 것이며 그는 자기 옷을 빨고 물로 몸을 씻을 것이라 저녁이면 정하리라 
  30. «마가복음 1:21». 저희가 가버나움에 들어가니라 예수께서 곧 안식일에 회당에 들어가 가르치시매 
  31. «누가복음 4:16». 예수께서 그 자라나신 곳 나사렛에 이르사 안식일에 자기 규례대로 회당에 들어가사 성경을 읽으려고 서시매 
  32. «사도행전 13:13-44». 바울과 및 동행하는 사람들이 ... 비시디아 안디옥에 이르러 안식일에 회당에 들어가 앉으니라 율법과 선지자의 글을 읽은 후에 회당장들이 사람을 보내어 물어 가로되 형제들아 만일 백성을 권할 말이 있거든 말하라 하니 바울이 일어나 손짓하며 말하되 이스라엘 사람들과 및 하나님을 경외하는 사람들아 들으라 ... 저희가 나갈새 사람들이 청하되 다음 안식일에도 이 말씀을 하라 하더라 
  33. «사도행전 16:13». 안식일에 우리가 기도처가 있는가 하여 문밖 강가에 나가 거기 앉아서 모인 여자들에게 말하더니 
  34. «고린도전서 14:26-40». 그런즉 형제들아 어찌할꼬 너희가 모일 때에 각각 찬송시도 있으며 가르치는 말씀도 있으며 계시도 있으며 방언도 있으며 통역함도 있나니 모든 것을 덕을 세우기 위하여 하라 만일 누가 방언으로 말하거든 두 사람이나 다불과 세 사람이 차서를 따라 하고 한 사람이 통역할 것이요 ... 모든 것을 적당하게 하고 질서대로 하라 
  35. «고린도전서 11:23-26». 내가 너희에게 전한 것은 주께 받은 것이니 곧 주 예수께서 잡히시던 밤에 떡을 가지사 축사하시고 떼어 가라사대 이것은 너희를 위하는 내 몸이니 이것을 행하여 나를 기념하라 하시고 식후에 또한 이와 같이 잔을 가지시고 가라사대 이 잔은 내 피로 세운 새 언약이니 이것을 행하여 마실 때마다 나를 기념하라 하셨으니 너희가 이 떡을 먹으며 이 잔을 마실 때마다 주의 죽으심을 오실 때까지 전하는 것이니라 
  36. «사도행전 20:7». 안식 후 첫날에 우리가 떡을 떼려 하여 모였더니 바울이 이튿날 떠나고자 하여 저희에게 강론할새 말을 밤중까지 계속하매 

분류:성경 상식 분류:성경 용어 분류:새 언약 복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