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 Dia da Ressurreição: diferenças entre revisões

Fonte: Enciclopédia de conhecimento da Igreja de Deus
Saltar para a navegação Saltar para a pesquisa
Sem resumo de edição
Sem resumo de edição
Linha 1: Linha 1:
{{절기
{{절기
|titulo = 부활절
|titulo = Dia da Ressurreição
|그림 = [[Ficheiro:The resurrection day.jpg|thumb|250px|center|<부활하신 예수와 막달라 마리아>, 하인리히 호프만 作]]
|그림 = [[Ficheiro:The resurrection day.jpg|thumb|250px|center|<부활하신 예수와 막달라 마리아>, 하인리히 호프만 作]]
|명칭 = 復活節, Day of Resurrection, Resurrection Day
|Nome=Dia da Ressurreição|Data=O dia seguinte ao sábado após a Festa dos Pães Asmos (o primeiro domingo)|Significado=Comemoração da ressurreição de Jesus|Cerimônia=Partir o pão que abre os olhos espirituais}}
|data = 무교절 후 첫 안식일 이튿날(첫 일요일)
'''부활절'''(復活節, Day of Resurrection, Resurrection Day)은 예수님이 [[십자가]]에 운명하신 후 3일 만에 다시 살아나신 것을 기념하는 [[하나님의 절기]]다. 성경의 부활절 날짜는 '[[무교절]] 후 첫 [[안식일]] 이튿날(일요일)'이다. 그러나 대다수 교회는 춘분 후에 오는 만월 후 첫 일요일에 지킨다. 유럽의 많은 국가에서는 부활절 전후를 국가공휴일로 지정해 연중 최대 명절로 기념한다. 미국은 부활절에 맞춰 모든 학교에서 봄방학을 하고, 관공서, 회사 등도 문을 닫고 연휴를 보낸다.<ref>[https://www.officeholidays.com/countries/france/2022 List of Holidays in France in 2022 (Lista de feriados na França em 2022)], ''Public Holidays in France'' in 2022</ref><ref>[https://www.feiertage.net/frei-tage.php Gesetzliche Feiertage in Nordrhein-Westfalen 2022 (Feriados em Renânia do Norte-Vestfália 2022)], ''Die Feiertage 2022, 2023 n Deutschland''</ref><ref>[https://www.euronext.com/en/trading-information/trading-hours-holidays Calendar of business days 2022 (Calendário de feriados 2022)], Trading Hours & Holidays, ''EURONEXT''</ref><ref>[https://guardian.ng/news/fg-declares-holidays-for-easter-celebration/ FG declares holidays for Easter celebration (O Governo Federal declara feriado para celebração da Páscoa da Ressurreição)], ''The Guardian'', 30 de março de 2021</ref><ref>[https://www.usatoday.com/picture-gallery/news/2017/04/16/christians-around-the-world-celebrate-easter-sunday/100544548/ Christians around the world celebrate Easter Sunday (Cristãos de todo o mundo celebram a Páscoa no domingo)], ''USA TODAY'', 17 de abril de 2017</ref> 한국은 부활절 당일에 개신교회나 가톨릭교회에서 기념예배를 드린다.<ref>[https://www.bible.com/pt/bible/1608/EXO.14.ARA Êxodo 14:21-30]</ref>O '''Dia da Ressurreição''' é uma festa solene de Deus que comemora a ressurreição de Jesus três dias após sua morte na cruz. Na Bíblia, a data do Dia da Ressurreição é o “dia seguinte ao sábado após a Festa dos Pães Asmos (domingo)”. No entanto, a maioria das igrejas guarda o primeiro domingo depois da lua cheia, que ocorre no equinócio de primavera, ou mesmo depois deste, e chamam de Páscoa da Ressurreição. Em muitos países da Europa, o dia anterior e posterior à Páscoa da Ressurreição é um feriado nacional e é uma data celebrada como uma das festividades mais importantes do ano. Nos Estados Unidos, a grande maioria das escolas tem férias de primavera geralmente antes e depois da Páscoa da Ressurreição. E muitos escritórios públicos e empresas fecham e aproveitam as férias por volta da Páscoa da Ressurreição. Igrejas protestantes e católicas em alguns países dão culto de comemoração nesse dia.  
|의미 = 예수님의 부활을 기념
|의식 = 영안을 여는 떡을 뗌
|예언성취 =
}}
'''부활절'''(復活節, Day of Resurrection, Resurrection Day)은 예수님이 [[십자가]]에 운명하신 후 3일 만에 다시 살아나신 것을 기념하는 [[하나님의 절기]]다. 성경의 부활절 날짜는 '[[무교절]] 후 첫 [[안식일]] 이튿날(일요일)'이다. 그러나 대다수 교회는 춘분 후에 오는 만월 후 첫 일요일에 지킨다. 유럽의 많은 국가에서는 부활절 전후를 국가공휴일로 지정해 연중 최대 명절로 기념한다. 미국은 부활절에 맞춰 모든 학교에서 봄방학을 하고, 관공서, 회사 등도 문을 닫고 연휴를 보낸다.<ref>[http://www.okja.org/europe_world/22940 "프랑스의 국경일과 기념일"]. 《사단법인 세계한인언론인협회》. 2016. 4. 15.</ref><ref>[http://www.withinnews.co.kr/news/view.html?section=1&category=147&item=&no=19515 "독일의 공휴일은 주마다 다르다?"]. 《위드인뉴스》. 2019. 8. 7.</ref><ref>[https://news.mt.co.kr/mtview.php?no=2020041404235836840 "유럽 주요국 증시, 부활절 연휴로 휴장"]. 《머니투데이》. 2020. 4. 14.</ref><ref>[https://www.ajunews.com/view/20210403034417312 "부활절 연휴 시작...미국·유럽·원유·금 일제히 휴장"]. 《아주경제》. 2021. 4. 3.</ref><ref>[https://www.shinailbo.co.kr/news/articleView.html?idxno=1395366 "금요일 미국·유럽 증시 부활절 연휴로 '휴장'"]. 《신아일보》. 2021. 4. 3.</ref> 한국은 부활절 당일에 개신교회나 가톨릭교회에서 기념예배를 드린다.<ref>[https://www.yna.co.kr/view/AKR20210403049200005 "'코로나19' 속 두 번째 부활절…전국 곳곳 기념 예배·미사"]. 《연합뉴스》. 2021. 4. 4.</ref>
==부활절의 유래==
<small>{{참고|초실절|l1=초실절|설명=더 자세한 내용은}}</small> 부활절의 유래는 [[예수님의 부활]]이다. 보다 근본적인 유래는 구약시대 [[초실절]]에서 찾을 수 있다. 초실절은 약 3500년 전, [[모세]]가 이스라엘 백성들을 이끌고 [[홍해]]를 건너 상륙한 행적을 기념하기 위해 제정됐다.<ref>{{citar web |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출애굽기#14장 |titulo=출애굽기 14:21-30 |citacao=모세가 바다 위로 손을 내어민대 여호와께서 큰 동풍으로 밤새도록 바닷물을 물러가게 하시니 물이 갈라져 바다가 마른 땅이 된지라 ... 모세가 곧 손을 바다 위로 내어밀매 새벽에 미쳐 바다의 그 세력이 회복된지라 애굽 사람들이 물을 거스려 도망하나 여호와께서 애굽 사람들을 바다 가운데 엎으시니 물이 다시 흘러 병거들과 기병들을 덮되 그들의 뒤를 쫓아 바다에 들어간 바로의 군대를 다 덮고 하나도 남기지 아니하였더라 그러나 이스라엘 자손은 바다 가운데 육지로 행하였고 물이 좌우에 벽이 되었었더라 그날에 여호와께서 이같이 이스라엘을 애굽 사람의 손에서 구원하시매 이스라엘이 바닷가의 애굽 사람의 시체를 보았더라 }}</ref> 무교절 후 첫 안식일 이튿날(일요일)에 지키는 절기로 그날에는 처음 거둔 곡식[初實]을 [[하나님]] 앞에 열납되도록 흔들어 [[구약의 제사|제사]]를 드렸다.
{{인용문5 |내용=이스라엘 자손에게 고하여 이르라 너희는 내가 너희에게 주는 땅에 들어가서 너희의 곡물을 거둘 때에 위선 너희의 '''곡물의 첫 이삭 한 단'''을 제사장에게로 가져갈 것이요 제사장은 너희를 위하여 그 단을 여호와 앞에 열납되도록 흔들되 '''안식일 이튿날'''에 흔들 것이며 |출처=[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레위기#23장 레위기 23:9-14]}}
구약시대 초실절에 드려지던 처음 익은 열매는 [[예수 그리스도]]에 대한 표상이다. 예수님은 잠자는 자들의 첫 열매[初實]로 부활하심으로써 초실절의 예언을 이루셨다.
{{인용문5 |내용=그러나 이제 '''그리스도'''께서 죽은 자 가운데서 다시 살아 '''잠자는 자들의 첫 열매'''가 되셨도다 |출처=[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고린도전서#15장 고린도전서 15:20]}}


==부활절의 날짜==
== 부활절의 유래A Origem do Dia de Ressurreição ==
<small>{{참고|Festa das Primícias|l1=Festa das Primícias|설명=Para mais informações, consulte o documento}}</small> 부활절의 유래는 [[예수님의 부활]]이다. 보다 근본적인 유래는 구약시대 [[초실절]]에서 찾을 수 있다. 초실절은 약 3500년 전, [[모세]]가 이스라엘 백성들을 이끌고 [[홍해]]를 건너 상륙한 행적을 기념하기 위해 제정됐다.<ref>[https://www.bible.com/pt/bible/1608/MAT.26.ARA Mateus 26-27]</ref> 무교절 후 첫 안식일 이튿날(일요일)에 지키는 절기로 그날에는 처음 거둔 곡식[初實]을 [[하나님]] 앞에 열납되도록 흔들어 [[구약의 제사|제사]]를 드렸다.A origem do Dia da Ressurreição é a ressurreição de Jesus. Uma origem mais fundamental pode ser encontrada na Festa das Primícias dos tempos do Antigo Testamento. A Festa das Primícias foi estabelecida para comemorar a saída de Moisés e dos israelitas que ele liderava, depois de atravessar o mar Vermelho, há cerca três mil e quinhentos anos. É celebrado no dia seguinte ao primeiro sábado após a Festa dos Pães Asmos (domingo). Nesse dia, o sacerdote ofereceu ofertas com um molho das primícias da messe diante Deus.


===성경 날짜===
{{인용문5 |내용=“Fala aos filhos de Israel e dize-lhes: Quando entrardes na terra, que vos dou, e segardes a sua messe, então, trareis '''um molho das primícias da vossa messe''' ao sacerdote; este moverá o molho perante o SENHOR, para que sejais aceitos; '''no dia imediato ao sábado''', o sacerdote o moverá. [...]” |출처=[https://www.bible.com/pt/bible/1608/LEV.23.ARA Levítico 23:9-14]}}
예수님은 [[유월절]] 밤에 잡히셔서 무교절에 십자가에서 운명하시고,<ref>{{citar web |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마태복음#26장 |titulo=마태복음 26-27장  |citacao= }}</ref> 그 후 안식일 이튿날(일요일)에 부활하심으로써 초실절의 예언을 정확하게 성취하셨다.
{{인용문5 |내용=예수께서 '''안식 후 첫날''' 이른 아침에 살아나신 후 전에 일곱 귀신을 쫓아내어 주신 막달라 마리아에게 먼저 보이시니 |출처=[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마가복음#16장 마가복음 16:1-9]}}
이처럼 부활절은 초실절의 예언을 성취한 날이므로, 초실절과 마찬가지로 '''<nowiki/>'무교절 후 첫 안식일 이튿날''''에 지켜져야 한다.


===변질된 날짜===
구약시대 초실절에 드려지던 처음 익은 열매는 [[예수 그리스도]]에 대한 표상이다. 예수님은 잠자는 자들의 열매[初實]로 부활하심으로써 초실절의 예언을 이루셨다.As primícias oferecidas na Festa das Primícias no Antigo Testamento representavam Jesus Cristo. Jesus cumpriu a profecia da Festa das Primícias ao ressuscitar como as primícias dos que dormem.
<small>{{참고|파스카 논쟁 (유월절 논쟁)|l1=파스카 논쟁 (유월절 논쟁)|설명=더 자세한 내용은}}</small>
대다수 [[교회]]는 '[https://www.doopedia.co.kr/doopedia/master/master.do?_method=view&MAS_IDX=101013000861428 춘분] 후에 오는 만월(滿月) 후 일요일'을 부활절로 기념한다.<ref>"부활절", 《표준국어대사전》, 국립국어원, "부활-절(復活節)「명사」 예수의 부활을 기념하는 축일. 춘분(春分) 뒤의 첫 만월(滿月) 다음에 오는 일요일이다."</ref> 이는 2-4세기, 유월절 성찬식 날짜를 두고 동·서방 교회 간에 촉발된 파스카 논쟁에서 서방 교회의 주장이 받아들여진 결과다.<br>
당시 서방 교회는 유월절 성찬식을 예수님의 가르침대로 성력 정월 14일 저녁에 행하지 않고 부활절에 행할 것을 주장했다. 325년 [[니케아 공의회]]에서 서방 교회의 의견을 따르기로 결정하면서 본래 성찬식을 행하던 절기인 [[새 언약 유월절]]은 교회력에서 사라지고, 부활절 날짜는 '춘분 후 첫 번째 보름달이 뜬 다음의 일요일'정해졌다.<ref>[http://www.ujeil.com/news/articleView.html?idxno=230184 "부활절 달걀 (Easter eggs)"]. 《울산제일일보》. 2019. 4. 21. "기독교인들에게 부활은 '예수님이 십자가에 못 박혀 죽으시고 장사 지낸 지 사흘 만에 무덤에서 다시 살아나신' 가장 기적적이고 역사적인 사건이다. ... 이를 기념하기 위한 '부활절'은 초대교회(=初代敎會=AD 33~150년 무렵에 성립된 원시기독교시대의 교회들) 당시로 거슬러 오른다. 오늘날 지켜지고 있는 부활절은 모두 '제1회 니케아 공의회'(=AD 325년, 로마황제 콘스탄티누스가 기독교 교리 논란에 마침표를 찍었던 회의) 때의 결정을 따른 것이다. 시기는 춘분(3월 21일경) 후 최초의 만월(滿月) 다음에 오는 첫째 주일이 보통이다."</ref><ref>이종기, 《간추린 교회사》, 세종문화사, 2004, 64-67쪽</ref><ref>제임스 C. 기본스, 《교부들의 신앙》, 장면 역, 가톨릭출판사, 1998, 139쪽</ref> [https://www.doopedia.co.kr/doopedia/master/master.do?_method=view&MAS_IDX=101013000695076 그레고리력]으로는 대개 3월 22일에서 4월 25일 사이인데,<ref>베탄 패트릭 외, 《1%를 위한 상식백과》, 이루리 역, 써네스트, 2014</ref> 이는 당시 유럽에서 널리 숭배하던 여신 '에오스트레(이스터)'의 축제일과 비슷한 시기다.<ref>[http://www.insightkorea.co.kr//news/articleView.html?idxno=35857 "부활절이란?, 달걀의 의미와 달걀 나눠주는 이유는?"]. 《인사이트코리아》. 2019. 4. 21. "부활절을 뜻하는 영어 'Easter'은 예수 그리스도의 부활과 직접적인 관계는 없으며, 앵글로 색슨 족의 오랜 봄철 축제인 'Old English ēaster'나 'ēastre'에 유래하고 있다. 이들은 게르만족 신화에 나오는 봄의 여신 '에오스트레'(Eostre)에서 파생된 것이라고 알려져 있다."</ref><ref>[http://www.kbmaeil.com/news/articleView.html?idxno=412406 "잘못된 부활절 토끼와 계란 풍습"]. 《경북매일》. 2017. 4. 16. "바벨론의 신이었던 이쉬타르(Ishtar· 아세라의 변형)를 숭배하는 축제의 전통이 영국에 소개되어 부활절에 끼어들었다는 설이 있다. 또한 고대 종교에서는 하늘의 신 아스타르테(Astarte)를 기념하는 축제일이 있었는데 아스타르테를 숭배하던 방식과 시기가 부활절과 비슷했다고 한다. 아스타르테는 이쉬타르 혹은 이스터(Easter)라고 발음 된다. ... 또한 기독교 풍습이 유럽에 전파될 무렵, 북부 유럽에서는 봄에 '이스트르(Eastre)' 축제를 계속하고 있었다. 그리스도인들은 바로 이 이스트르 축제가 열리는 비슷한 시기에 부활절 파스카를 경축하였던 것이다."</ref> 오늘날 부활절을 영어로 '이스터(Easter)'라는 이름으로 부르게 된 것은 이스터 여신의 축제와 관련이 있다.<ref>"부활절", 《브리태니커 세계 대백과사전》 제10권, [http://britannica.co.kr/ 한국브리태니커회사], 1995, 195쪽, "영어명 'Easter'의 기원은 정확히 알 수 없으나, 8세기 앵글로색슨족의 사제인 가경자(可敬者) 비드는 이 말이 앵글로색슨족이 숭배하는 봄의 여신 '에오스터' (Eostre)에서 파생된 것이라고 했다."</ref>


==부활절의 의식==
{{인용문5 |내용=“Mas, de fato, Cristo ressuscitou dentre os mortos, sendo ele '''as primícias dos que dormem'''.” |출처=[https://www.bible.com/pt/bible/1608/1CO.15.ARA 1 Coríntios 15:20]}}


===성경적 의식: 부활절 떡===
== 부활절의 날짜A Data do Dia da Ressurreição ==
[[성경]]은 부활하신 예수님이 엠마오로 가던 두 제자에게 나타나신 사건을 기록하고 있다. 두 제자는 예수님과 동행하며 대화를 나누었지만, 상대가 예수님인지 알아보지 못했다. 그들의 눈이 가려져 있었기 때문이다.<ref>{{citar web |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누가복음#24장 |titulo=누가복음 24:13-16  |citacao=예수께서 가까이 이르러 저희와 동행하시나 저희의 눈이 가리워져서 그인 줄 알아보지 못하거늘 }}</ref> 이에 예수님은 두 제자에게 축사하신 떡을 먹이셨고, 제자들은 그제야 눈이 밝아져 자신들과 대화한 상대가 십자가에서 돌아가신 예수님이라는 사실을 깨달았다.<ref>{{citar web |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누가복음#24장 |titulo=누가복음 24:30-34  |citacao=저희와 함께 음식 잡수실 때에 떡을 가지사 축사하시고 떼어 저희에게 주시매 저희 눈이 밝아져 그인 줄 알아보더니 }}</ref> 이후 초대교회 성도들은 예수님의 본에 따라 무교절 후 첫 안식일 이튿날에 '''떡을 떼며''' 부활절을 기념했다.
{{인용문5 |내용=무교절 후에 ... 안식 후 첫날에 우리가 떡을 떼려 하여 모였더니 |출처=[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사도행전#20장 사도행전 20:6-7]}}
[[하나님의교회 세계복음선교협회]]는 성경대로 유월절과 무교절을 기준으로 부활절을 지키며, 예수님을 본받아 부활절 떡을 떼는 예식을 행한다.<ref>[https://www.joongang.co.kr/article/21484290 "부활절 날짜는 이 교회 저 교회 다르다... 왜"]. 《중앙일보》. 2017. 4. 17.</ref><ref>[http://woman.chosun.com/news/articleView.html?idxno=76022 "하나님의교회 세계복음선교협회 "코로나19 극복에는 실천하는 사랑이 필요합니다""]. 《여성조선》. 2021. 4. 27.</ref><ref>[https://www.sedaily.com/NewsVIew/1Z1GJKHSJ6 "하나님의교회, 부활절 맞아 전 세계 신자들과 온라인 예배"]. 《서울경제》. 2020. 4. 13.</ref>


===이교적 관습: 부활절 달걀과 토끼===
=== 성경 날짜A data na Bíblia ===
오늘날 많은 교회는 삶은 달걀을 먹으며 부활절을 기념하고, 토끼와 달걀을 부활절의 상징으로 여긴다. 토끼와 달걀이 부활절의 상징이 된 이유는 봄과 새벽을 관장하는 튜턴족의 여신 이스터(에오스트레) 숭배 관습이 기독교로 유입되었기 때문으로 추정한다.<ref>[http://www.kbmaeil.com/news/articleView.html?idxno=412406 "잘못된 부활절 토끼와 계란 풍습"]. 《경북매일》. 2017. 4. 16.</ref> 봄이 새로운 생명의 계절인 까닭에 이스터는 '다산의 여신'으로도 여겨졌는데, 토끼와 달걀은 모두 다산의 상징으로 사용됐다.<ref>[https://www.crosswalk.com/special-coverage/easter/who-is-eostre-and-what-does-she-have-to-do-with-easter.html "Who Is Eostre and What Does She Have to Do With Easter?,"] ''crosswalk.com,'' Mar. 18. 2022.</ref> 오늘날 영어와 독일어에서 부활절을 나타내는 명칭이 여신의 이름에서 유래된 '이스터(Easter)' 또는 '오스테른(Ostern)'인 것도 부활절이 이방 종교의 영향으로 변질되었다는 사실을 방증한다. 이스터 여신과 달걀에 관한 기원은 훨씬 더 오래전으로 거슬러 올라간다. 고대 바빌로니아인들은 하늘에서 커다란 알이 유프라테스강으로 떨어졌고, 알에서 여신 이슈타르(Ishtar)가 부화했다고 믿었다.<ref>[https://archangel16.livejournal.com/159251.html "The Truth about Easter (Babylonian Fertility Cult),"] <i>LiveJournal</i>, Mar. 30. 2009., <q>The true origin of Easter is more about fertility and mother earth than the Bible. "The egg was a sacred symbol among the Babylonians. They believed an old fable about an egg of wondrous size which was supposed to have fallen from heaven into the Euphrates River. From this marvelous egg - according to the ancient story - the Goddess Ishtar (Semiramis), was hatched. And so the egg came to symbolize the Goddess Easter," The Jewish Encyclopedia, Vol. 9, p. 309.</q></ref> 이스라엘에서는 아스다롯(Ashtoreth)이라는 이름으로 불렸다.<ref>[https://jewishencyclopedia.com/articles/2265-baaltis "ASTARTE WORSHIP AMONG THE HEBREWS,"] <i>Jewish Encyclopedia</i>, <q>Astarte is the Phenician name of the primitive Semitic mother-goddess, out of which the most important of the Semitic deities were developed. She was known in Arabia as "Athtar," and inBabylonia as "Ishtar." Her name appears in the Old Testament (I Kings xi. 5; II Kings xxiii. 13) as "Ashtoreth,"</q></ref> 성경은 이스라엘이 이방 종교의 습속을 받아들임으로써 [[하나님]]의 진노를 샀다고 전하고 있다.<ref>{{citar web |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사사기#2장 |titulo=사사기 2:12-15  |citacao=애굽 땅에서 그들을 인도하여 내신 그 열조의 하나님 여호와를 버리고 다른 신 곧 그 사방에 있는 백성의 신들을 좇아 그들에게 절하여 여호와를 진노하시게 하였으되 곧 그들이 여호와를 버리고 바알과 아스다롯을 섬겼으므로 여호와께서 이스라엘에게 진노하사 노략하는 자의 손에 붙여 그들로 노략을 당케 하시며 또 사방 모든 대적의 손에 파시매 그들이 다시는 대적을 당치 못하였으며 그들이 어디를 가든지 여호와의 손이 그들에게 재앙을 내리시매 }}</ref><ref>{{citar web |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열왕기상#11장 |titulo=열왕기상 11:31-33  |citacao=여로보암에게 이르되 너는 열 조각을 취하라 이스라엘 하나님 여호와의 말씀이 내가 이 나라를 솔로몬의 손에서 찢어 빼앗아 열 지파를 네게 주고 오직 내 종 다윗을 위하고 이스라엘 모든 지파 중에서 뺀 성 예루살렘을 위하여 한 지파를 솔로몬에게 주리니 이는 저희가 나를 버리고 시돈 사람의 여신 아스다롯과 모압의 신 그모스와 암몬 자손의 신 밀곰을 숭배하며 그 아비 다윗의 행함 같지 아니하여 내 길로 행치 아니하며 나 보기에 정직한 일과 나의 법도와 나의 율례를 행치 아니함이니라 }}</ref> 이러한 문제를 인식한 일부 기독교단은 부활절에 삶은 달걀 대신 사탕, 초콜릿 등을 먹으며 기념하기도 하지만 이 역시 초대교회의 부활절 예식에서 전혀 찾아볼 수 없는, 성경에 근거하지 않은 풍습이다.<ref>[http://www.koreadaily.com/news/read.asp?art_id=5178446 "요즘 부활절엔 '계란 없다'…이교도 습관 섞어 놓은 것"]. 《중앙일보》. 2017. 4. 14.</ref>
예수님은 [[유월절]] 밤에 잡히셔서 무교절에 십자가에서 운명하시고,<ref>[https://www.thefreedictionary.com/Resurrection+Sunday “Easter”], ''The Free Dictionary.com''</ref> 그 후 안식일 이튿날(일요일)에 부활하심으로써 초실절의 예언을 정확하게 성취하셨다.Jesus foi preso na noite da Páscoa, morreu na cruz na Festa dos Pães Asmos, e cumpriu a profecia da Festa das Primícias ao ressuscitar no dia seguinte ao sábado (domingo).


*'''언어별 부활절의 명칭'''
{{인용문5 |내용=“'''Passado o sábado''' [...] Havendo ele ressuscitado de manhã cedo '''no primeiro dia da semana (“no domingo”, NTLH)''', apareceu primeiro a Maria Madalena, da qual expelira sete demônios.” |출처=[https://www.bible.com/pt/bible/1608/MRK.16.ARA Marcos 16:1-9]}}
 
이처럼 부활절은 초실절의 예언을 성취한 날이므로, 초실절과 마찬가지로 '''<nowiki/>'무교절 후 첫 안식일 이튿날''''에 지켜져야 한다.Assim, o Dia da Ressurreição é o dia em que se cumpriu a profecia da Festa das Primícias, portanto deve ser celebrado no “'''dia seguinte ao primeiro sábado após a Festa dos Pães Asmos'''”, assim como a Festa das Primícias.
 
=== 변질된 날짜A data distorcida ===
<small>{{참고|A Controvérsia da Páscoa|l1=A Controvérsia da Páscoa|설명=Para mais informações, consulte o documento}}</small>
대다수 [[교회]]는 '[https://www.doopedia.co.kr/doopedia/master/master.do?_method=view&MAS_IDX=101013000861428 춘분] 후에 오는 만월(滿月) 후 첫 일요일'을 부활절로 기념한다.<ref>[https://www.worldhistory.org/Easter/ “Easter”], ''WORLD HISTORY ENCYCLOPEDIA'', 1 de janeiro de 2021</ref> 이는 2-4세기, 유월절 성찬식 날짜를 두고 동·서방 교회 간에 촉발된 파스카 논쟁에서 서방 교회의 주장이 받아들여진 결과다.A maioria das igrejas celebra o Dia da Ressurreição no “primeiro domingo depois da lua cheia após o equinócio da primavera”. Este é o resultado de aceitar a insistência das igrejas ocidentais sobre a data da Santa Ceia da Páscoa. A controvérsia da Páscoa espalhou-se entre as igrejas orientais e ocidentais do século II ao século IV.
 
<br>
당시 서방 교회는 유월절 성찬식을 예수님의 가르침대로 성력 정월 14일 저녁에 행하지 않고 부활절에 행할 것을 주장했다. 325년 [[니케아 공의회]]에서 서방 교회의 의견을 따르기로 결정하면서 본래 성찬식을 행하던 절기인 [[새 언약 유월절]]은 교회력에서 사라지고, 부활절 날짜는 '춘분 후 첫 번째 보름달이 뜬 다음의 일요일'로 정해졌다.<ref>James Gibbons, “Supremacy of the Popes (Supremacia dos Papas)”, ''THE FAITH OF OUR FATHERS'' (A FÉ DE NOSSOS PAIS), 1876, p. 134</ref><ref>[https://www.timeanddate.com/news/holidays/early-easter-2008.html Easter 2008 is the Earliest in Nearly a Century (A Páscoa da Ressurreição de 2008 Realizada Mais Cedo Em Quase Um Século)], ''Time and Date'', 14 de março de 2008</ref><ref>[https://www.abc.net.au/news/2017-04-15/the-origins-of-easter-from-pagan-roots-to-chocolate-eggs/8440134 Origin of Easter: From pagan festivals and Christianity to bunnies and chocolate eggs (A origem da Páscoa da Ressurreição: Desde festividades pagãs e o cristianismo até coelhos e ovos de chocolate)], ''ABC.net'', 15 de abril de 2017</ref> [https://www.doopedia.co.kr/doopedia/master/master.do?_method=view&MAS_IDX=101013000695076 그레고리력]으로는 대개 3월 22일에서 4월 25일 사이인데,<ref>[https://www.usnews.com/news/national-news/articles/2017-04-12/why-easter-is-called-easter-and-other-little-known-facts-about-the-holiday Why Easter Is Called Easter, and Other Facts About the Holiday (Por que a Páscoa da Ressurreição é chamada assim e outros fatos sobre a festividade)], ''U.S.News,'' 12 de abril de 2017</ref> 이는 당시 유럽에서 널리 숭배하던 여신 '에오스트레(이스터)'의 축제일과 비슷한 시기다.<ref>[https://www.bible.com/pt/bible/1608/LUK.24.ARA Lucas 24:13-16]</ref><ref>[https://www.bible.com/pt/bible/1608/LUK.24.ARA Lucas 24:30-34]</ref> 오늘날 부활절을 영어로 '이스터(Easter)'라는 이름으로 부르게 된 것은 이스터 여신의 축제와 관련이 있다.<ref>[https://watv.org/bible_word/resurrection-day/ Dia da Ressurreição de Jesus Cristo], ''Site Igreja de Deus Sociedade Missionária Mundial''</ref>As igrejas do Ocidente insistiam que a comunhão da Páscoa deveria ser celebrada no Dia da Ressurreição, e não a noite do 14º dia do primeiro mês segundo o calendário sagrado que Jesus havia ensinado. Em 325 d.C., no Concílio de Niceia, as igrejas decidiram seguir a insistência das igrejas ocidentais, de modo que a Páscoa da Nova Aliança, dia em que originalmente se celebrava a Santa Ceia, desapareceu do calendário eclesiástico, e a data do dia da Páscoa da Ressurreição foi definido no “primeiro domingo depois da primeira lua cheia após o equinócio da primavera”.  No calendário gregoriano, geralmente ocorre entre 22 de março e 25 de abril, que é semelhante ao festival da deusa “Eostre (Easter em inglês), que era amplamente adorada na Europa naquela época. Hoje, a palavra Páscoa da Ressurreição (Easter) está relacionada à festividade da deusa “Ostara”.
 
== 부활절의 의식A Cerimônia do Dia da Ressurreição ==
 
=== 성경적 의식: 부활절 떡Cerimônia bíblica: o pão do Dia da Ressurreição ===
[[성경]]은 부활하신 예수님이 엠마오로 가던 두 제자에게 나타나신 사건을 기록하고 있다. 두 제자는 예수님과 동행하며 대화를 나누었지만, 상대가 예수님인지 알아보지 못했다. 그들의 눈이 가려져 있었기 때문이다.<ref>[https://watv.org/pt/sacred-assemblies-2022/ A Santa Convocação da Páscoa, a Festa dos Pães Asmos e o Dia da Ressurreição 2022], ''Site Igreja de Deus Sociedade Missionária Mundial'', 15 de abril de 2022</ref> 이에 예수님은 두 제자에게 축사하신 떡을 먹이셨고, 제자들은 그제야 눈이 밝아져 자신들과 대화한 상대가 십자가에서 돌아가신 예수님이라는 사실을 깨달았다.<ref>[https://www.britannica.com/summary/Easter-holiday Resumo sobre a Páscoa], ''Britannica''</ref> 이후 초대교회 성도들은 예수님의 본에 따라 무교절 후 첫 안식일 이튿날에 '''떡을 떼며''' 부활절을 기념했다.A Bíblia registra de como Jesus ressuscitou dos mortos e apareceu aos seus dois discípulos que estavam a caminho de Emaús. Os dois discípulos falaram com Jesus, mas não o reconheceram. Isto ocorreu porque seus olhos estavam cobertos. Então Jesus deu o pão no qual havia dado graças, e os olhos dos discípulos se abriram e eles perceberam que estavam conversando com Jesus, que havia morrido na cruz. Mais tarde, os santos da igreja primitiva celebraram o Dia da Ressurreição '''partindo o pão''' no dia seguinte ao primeiro sábado após a Festa dos Pães Asmos seguindo o exemplo de Jesus.
 
{{인용문5 |내용=“Depois dos dias dos pães asmos, [...] No primeiro dia da semana, estando nós reunidos com o fim de '''partir o pão''', [...]” |출처=[https://www.bible.com/pt/bible/1608/ACT.20.ARA Atos 20:6-7]}}
 
[[하나님의교회 세계복음선교협회]]는 성경대로 유월절과 무교절을 기준으로 부활절을 지키며, 예수님을 본받아 부활절 떡을 떼는 예식을 행한다.<ref>[https://www.crosswalk.com/special-coverage/easter/who-is-eostre-and-what-does-she-have-to-do-with-easter.html Who Is Eostre and What Does She Have to Do With Easter? (Quem É Ostara e Qual Sua Relação Com a Páscoa da Ressurreição?)], ''Crosswalk.com'', 18 de março de 2022</ref><ref>Alexander Hislop (1998), ''The Two Babylons'', p. 109</ref><ref>[https://jewishencyclopedia.com/articles/2265-baaltis ASTARTE WORSHIP AMONG THE HEBREWS (A ADORAÇÃO A ASTARTE ENTRE OS HEBREUS)], ''Jewish Encyclopedia''</ref>A Igreja de Deus Sociedade Missionária Mundial celebra o Dia da Ressurreição com base nas datas da Páscoa e da Festa dos Pães Asmos na Bíblia, e guarda a cerimônia de partir o pão, seguindo o exemplo de Jesus.
 
=== 이교적 관습: 부활절 달걀과 토끼Costumes pagãos: ovos e coelhos da Páscoa da Ressurreição ===
오늘날 많은 교회는 삶은 달걀을 먹으며 부활절을 기념하고, 토끼와 달걀을 부활절의 상징으로 여긴다. 토끼와 달걀이 부활절의 상징이 된 이유는 봄과 새벽을 관장하는 튜턴족의 여신 이스터(에오스트레) 숭배 관습이 기독교로 유입되었기 때문으로 추정한다.<ref>[https://www.bible.com/pt/bible/1608/JDG.2.ARA Juizes 2:12-15]</ref> 봄이 새로운 생명의 계절인 까닭에 이스터는 '다산의 여신'으로도 여겨졌는데, 토끼와 달걀은 모두 다산의 상징으로 사용됐다.<ref>[https://www.bible.com/pt/bible/1608/1KI.11.ARA 1 Reis 11:31-33]</ref> 오늘날 영어와 독일어에서 부활절을 나타내는 명칭이 여신의 이름에서 유래된 '이스터(Easter)' 또는 '오스테른(Ostern)'인 것도 부활절이 이방 종교의 영향으로 변질되었다는 사실을 방증한다. 이스터 여신과 달걀에 관한 기원은 훨씬 더 오래전으로 거슬러 올라간다. 고대 바빌로니아인들은 하늘에서 커다란 알이 유프라테스강으로 떨어졌고, 그 알에서 여신 이슈타르(Ishtar)가 부화했다고 믿었다.<ref>[https://www.eatthis.com/news-most-popular-easter-candy/ The #1 Most Popular Easter Candy, According to New Data (O doce mais popular da Páscoa, de acordo com novas pesquisas)], ''Earth This, Not That!,'' 11 de abril de 2022</ref> 이스라엘에서는 아스다롯(Ashtoreth)이라는 이름으로 불렸다.<ref>[https://www.britannica.com/topic/Easter-holiday “Easter”], ''Britannica''</ref> 성경은 이스라엘이 이방 종교의 습속을 받아들임으로써 [[하나님]]의 진노를 샀다고 전하고 있다.<ref>[https://dictionary.cambridge.org/dictionary/german-english/ostern “Ostern”], ''Cambridge Dictionary''</ref><ref>[https://www.studylight.org/lexicons/eng/hebrew/6453.html “Strong's #6453 - פֶּסַח”], ''StudyLight.org''</ref> 이러한 문제를 인식한 일부 기독교단은 부활절에 삶은 달걀 대신 사탕, 초콜릿 등을 먹으며 기념하기도 하지만 이 역시 초대교회의 부활절 예식에서 전혀 찾아볼 수 없는, 성경에 근거하지 않은 풍습이다.<ref>[https://www.bible.com/pt/bible/1608/LUK.22.ARA Lucas 22:15]</ref>Hoje, muitas igrejas celebram a Páscoa como comemoração da ressurreição de Jesus, consumindo ovos cozidos ou de chocolate, e consideram os coelhos e os ovos como símbolos dessa celebração. Supõe-se que a razão de coelhos e ovos se tornarem símbolos da Páscoa são porque o cristianismo assimilou o costume de adorar a deusa dos Teutões, Ostara (Eostre), que governava a primavera e o amanhecer. Como a primavera é a estação da nova vida, Ostara era considerada a “deusa da fertilidade”, e coelhos e ovos eram usados como símbolos de fertilidade. O fato de a Páscoa da Ressurreição ser chamada de “Easter” em inglês e de “Ostern” em alemão prova que o Dia da Ressurreição foi alterado pela influência de religiões pagãs. A origem da deusa Ostara e dos ovos remonta a tempos mais remotos na história. Os antigos babilônios acreditavam que um grande ovo havia caído do céu no rio Eufrates e que a deusa Ishtar havia nascido desse ovo. Em Israel, esta deusa era chamada de Astaroth. A Bíblia nos diz que Israel provocou a ira de Deus ao adotar os costumes de religiões pagãs. Reconhecendo este problema, alguns grupos cristãos celebram a Páscoa comendo doces ou chocolates em vez de ovos cozidos, mas este também é um costume não-bíblico, não encontrado na igreja primitiva.
 
*'''언어별 부활절의 명칭·        Nomes do Dia da Ressurreição em cada idioma'''


:{| class="wikitable"
:{| class="wikitable"
|-
|-
! style="width: 13%;" |언어
! style="width: 13%;" |'''IDIOMA'''
!명칭
!'''NOME'''
!어원
!'''ETIMOLOGIA'''
! style="width: 25%;" |비고
! style="width: 25%;" |'''OBSERVAÇÕES'''
|-
|-
|한국어
|Coreano
|부활절
|부활절
| rowspan="3" |예수 그리스도의 [[부활]]을 기념
| rowspan="3" |Comemora a ressurreição de Jesus Cristo
|
|
|-
|-
|중국어
|Chinês
|复活节(간체), 復活節(번체)
|复活节(simplificado), 復活節(tradicional)


|
|
|-
|-
|일본어
|Japonês
|復活祭, イースター
|復活祭, イースター
|
|
|-
|-
|영어
|Inglês
|Easter, Day of Resurrection, Resurrection Day
|Easter, Day of Resurrection, Resurrection Day
|Eostre, Eostrae (봄과 풍요의 여신의 이름)<ref name="이스터">[https://www.britannica.com/topic/Easter-holiday "Easter,"] ''Encyclopaedia Britannica''</ref>
|Eostre, Eostrae (봄과 풍요의 여신의 이름)<ref name="이스터">[https://www.bible.com/pt/bible/1608/1CO.11.ARA 1 Coríntios 11:23-26]</ref>Eostre, Ostara (o nome da deusa da primavera e da abundância)
| rowspan="2" |Easter, Ostern은 비성경적 명칭
| rowspan="2" |Easter e Ostara são nomes não bíblicos.
|-
|-
|독일어
|Alemão
|Ostern<ref>Robert K. Barnhart, ''The Barnhart Concise Dictionary of Etymology'', HarperCollins, 1995</ref>
|Ostern<ref>Alexander Hislop, THE TWO BABYLONS OR THE PAPAL WORSHIP: PROVED TO BE THE WORSHIP OF NIMROD AND HIS WIFE (AS DUAS BABILÔNIAS OU A ADORAÇÃO PAPAL: PROVOU SER A ADORAÇÃO A NINRODE E SUA ESPOSA), Vol. 27, p. 149</ref>
|eostarum (봄과 풍요의 여신의 이름)<ref name="이스터" />
|eostarum (봄과 풍요의 여신의 이름)<ref name="이스터" />Eostarum (o nome da deusa da primavera e da abundância)
|-
|-
|그리스어
|Grego
|Πάσχα[파스카]
|Πάσχα (Paskha)
|히브리어 פֶּסַח[페사흐]<ref>[https://dict.naver.com/hbokodict/#/entry/hboko/9d4fc2738f1042beac7f29743331001c "פֶּסַח"], 《네이버 고대 히브리어사전》</ref>를 헬라어식으로 음차
|히브리어 פֶּסַח[페사흐]<ref>''[https://dictionary.cambridge.org/dictionary/dutch-english/pasen Pasen], Cambridge Dictionary''</ref>를 헬라어식으로 음차Pronunciação da palavra hebraica פֶּסַח (Pessach) no estilo grego
| rowspan="9" |원래 성경의 파스카는 예수님이 [[십자가 고난|고난]]받기 전날에 지킨 절기로,<ref>{{citar web |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누가복음#22장 |titulo=누가복음 22:15  |citacao=이르시되 내가 고난을 받기 전에 너희와 함께 이 유월절 먹기를 원하고 원하였노라 }}</ref> 파스카의 성찬식은 예수님의 부활이 아니라 예수님의 죽으심을 기념하는 예식이다.<ref>{{citar web |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고린도전서#11장 |titulo=고린도전서 11:23-26  |citacao=내가 너희에게 전한 것은 주께 받은 것이니 곧 주 예수께서 잡히시던 밤에 떡을 가지사 축사하시고 떼어 가라사대 이것은 너희를 위하는 내 몸이니 이것을 행하여 나를 기념하라 하시고 식후에 또한 이와 같이 잔을 가지시고 가라사대 이 잔은 내 피로 세운 새 언약이니 이것을 행하여 마실 때마다 나를 기념하라 하셨으니 너희가 이 떡을 먹으며 이 잔을 마실 때마다 주의 죽으심을 오실 때까지 전하는 것이니라 }}</ref> 그런데도 예수님의 부활을 기념하는 날에 성찬식을 행하는 서방 교회의 관습이 보편화되었다. 그래서 일부 언어권에서 예수님이 부활하신 날을 파스카라고 잘못 부르게 되었다.<ref>{{citar web |url=http://passoveris.com/유월절-교회사/파스카-논쟁-부활절-논쟁 |titulo="파스카 논쟁 오류" |obra=passoveris.com  |publicado= |data= |ano=  |pagina= |series= |isbn= |citacao=부활절로 오용되고 있는 프랑스어 Pâques, 스페인어 Pascua, 라틴어 Pascha는 모두 '유월절'을 뜻하는 헬라어 파스카에서 기원한 것이다. 이는 부활절을 중시했던 서방 교회의 입장에 편중된 표현이다.}}</ref>
| rowspan="9" |원래 성경의 파스카는 예수님이 [[십자가 고난|고난]]받기 전날에 지킨 절기로, 파스카의 성찬식은 예수님의 부활이 아니라 예수님의 죽으심을 기념하는 예식이다. 그런데도 예수님의 부활을 기념하는 날에 성찬식을 행하는 서방 교회의 관습이 보편화되었다. 그래서 일부 언어권에서 예수님이 부활하신 날을 파스카라고 잘못 부르게 되었다.Na Bíblia, Pascha é uma festa que Jesus celebrou um dia antes de sofrer. A Santa Ceia da Pascha é uma cerimônia para comemorar a morte de Jesus, não a sua ressurreição. Porém, tornou-se comum nas igrejas ocidentais celebrar a santa ceia no dia em que se comemora a ressurreição de Jesus. Por essa razão, em algumas línguas, o dia da ressurreição de Jesus é erroneamente chamado de Pascha.
|-
|-
|라틴어
|Latim
|Pascha[파스카]
|Pascha
|히브리어 פֶּסַח[페사흐]를 헬라어식으로 음차한 πάσχα에서 유래
|히브리어 פֶּסַח[페사흐]를 헬라어식으로 음차한 πάσχα에서 유래Deriva-se de ''πάσχα'', uma palavra grega para diminuir a palavra hebraica פֶּסַח [Pessach]
|-
|-
|러시아어
|Russo
|Пасха
|Пасха
| rowspan="7" |라틴어 Pascha
| rowspan="7" |Pascha em latim
|-
|-
|스페인어
|Espanhol
|Pascua
|Pascua
|-
|-
|루마니아어
|Romeno
|Paști
|Paști
|-
|-
|이탈리아어
|Italiano


|Pasqua
|Pasqua
|-
|-
|포르투갈어
|Português
|Páscoa
|Páscoa
|-
|-
|프랑스어
|Francês
|Pâques
|Pâques
|-
|-
|네덜란드어
|Holandês
|Pasen<ref>[http://www.wordsense.eu/Pasen/ "Pasen,"] ''WordSense Dictionary''</ref>
|Pasen
|}
|}


==각주==
== Referências ==
<references />
<references />



Revisão das 06h48min de 18 de março de 2025


Nome Dia da Ressurreição
Data O dia seguinte ao sábado após a Festa dos Pães Asmos (o primeiro domingo)
Significado Comemoração da ressurreição de Jesus
Cerimônia Partir o pão que abre os olhos espirituais

부활절(復活節, Day of Resurrection, Resurrection Day)은 예수님이 십자가에 운명하신 후 3일 만에 다시 살아나신 것을 기념하는 하나님의 절기다. 성경의 부활절 날짜는 '무교절 후 첫 안식일 이튿날(일요일)'이다. 그러나 대다수 교회는 춘분 후에 오는 만월 후 첫 일요일에 지킨다. 유럽의 많은 국가에서는 부활절 전후를 국가공휴일로 지정해 연중 최대 명절로 기념한다. 미국은 부활절에 맞춰 모든 학교에서 봄방학을 하고, 관공서, 회사 등도 문을 닫고 연휴를 보낸다.[1][2][3][4][5] 한국은 부활절 당일에 개신교회나 가톨릭교회에서 기념예배를 드린다.[6]O Dia da Ressurreição é uma festa solene de Deus que comemora a ressurreição de Jesus três dias após sua morte na cruz. Na Bíblia, a data do Dia da Ressurreição é o “dia seguinte ao sábado após a Festa dos Pães Asmos (domingo)”. No entanto, a maioria das igrejas guarda o primeiro domingo depois da lua cheia, que ocorre no equinócio de primavera, ou mesmo depois deste, e chamam de Páscoa da Ressurreição. Em muitos países da Europa, o dia anterior e posterior à Páscoa da Ressurreição é um feriado nacional e é uma data celebrada como uma das festividades mais importantes do ano. Nos Estados Unidos, a grande maioria das escolas tem férias de primavera geralmente antes e depois da Páscoa da Ressurreição. E muitos escritórios públicos e empresas fecham e aproveitam as férias por volta da Páscoa da Ressurreição. Igrejas protestantes e católicas em alguns países dão culto de comemoração nesse dia.

부활절의 유래A Origem do Dia de Ressurreição

부활절의 유래는 예수님의 부활이다. 보다 근본적인 유래는 구약시대 초실절에서 찾을 수 있다. 초실절은 약 3500년 전, 모세가 이스라엘 백성들을 이끌고 홍해를 건너 상륙한 행적을 기념하기 위해 제정됐다.[7] 무교절 후 첫 안식일 이튿날(일요일)에 지키는 절기로 그날에는 처음 거둔 곡식[初實]을 하나님 앞에 열납되도록 흔들어 제사를 드렸다.A origem do Dia da Ressurreição é a ressurreição de Jesus. Uma origem mais fundamental pode ser encontrada na Festa das Primícias dos tempos do Antigo Testamento. A Festa das Primícias foi estabelecida para comemorar a saída de Moisés e dos israelitas que ele liderava, depois de atravessar o mar Vermelho, há cerca três mil e quinhentos anos. É celebrado no dia seguinte ao primeiro sábado após a Festa dos Pães Asmos (domingo). Nesse dia, o sacerdote ofereceu ofertas com um molho das primícias da messe diante Deus.


“Fala aos filhos de Israel e dize-lhes: Quando entrardes na terra, que vos dou, e segardes a sua messe, então, trareis um molho das primícias da vossa messe ao sacerdote; este moverá o molho perante o SENHOR, para que sejais aceitos; no dia imediato ao sábado, o sacerdote o moverá. [...]”

- Levítico 23:9-14


구약시대 초실절에 드려지던 처음 익은 열매는 예수 그리스도에 대한 표상이다. 예수님은 잠자는 자들의 첫 열매[初實]로 부활하심으로써 초실절의 예언을 이루셨다.As primícias oferecidas na Festa das Primícias no Antigo Testamento representavam Jesus Cristo. Jesus cumpriu a profecia da Festa das Primícias ao ressuscitar como as primícias dos que dormem.


“Mas, de fato, Cristo ressuscitou dentre os mortos, sendo ele as primícias dos que dormem.”

- 1 Coríntios 15:20


부활절의 날짜A Data do Dia da Ressurreição

성경 날짜A data na Bíblia

예수님은 유월절 밤에 잡히셔서 무교절에 십자가에서 운명하시고,[8] 그 후 안식일 이튿날(일요일)에 부활하심으로써 초실절의 예언을 정확하게 성취하셨다.Jesus foi preso na noite da Páscoa, morreu na cruz na Festa dos Pães Asmos, e cumpriu a profecia da Festa das Primícias ao ressuscitar no dia seguinte ao sábado (domingo).


Passado o sábado [...] Havendo ele ressuscitado de manhã cedo no primeiro dia da semana (“no domingo”, NTLH), apareceu primeiro a Maria Madalena, da qual expelira sete demônios.”

- Marcos 16:1-9


이처럼 부활절은 초실절의 예언을 성취한 날이므로, 초실절과 마찬가지로 '무교절 후 첫 안식일 이튿날'에 지켜져야 한다.Assim, o Dia da Ressurreição é o dia em que se cumpriu a profecia da Festa das Primícias, portanto deve ser celebrado no “dia seguinte ao primeiro sábado após a Festa dos Pães Asmos”, assim como a Festa das Primícias.

변질된 날짜A data distorcida

대다수 교회는 '춘분 후에 오는 만월(滿月) 후 첫 일요일'을 부활절로 기념한다.[9] 이는 2-4세기, 유월절 성찬식 날짜를 두고 동·서방 교회 간에 촉발된 파스카 논쟁에서 서방 교회의 주장이 받아들여진 결과다.A maioria das igrejas celebra o Dia da Ressurreição no “primeiro domingo depois da lua cheia após o equinócio da primavera”. Este é o resultado de aceitar a insistência das igrejas ocidentais sobre a data da Santa Ceia da Páscoa. A controvérsia da Páscoa espalhou-se entre as igrejas orientais e ocidentais do século II ao século IV.


당시 서방 교회는 유월절 성찬식을 예수님의 가르침대로 성력 정월 14일 저녁에 행하지 않고 부활절에 행할 것을 주장했다. 325년 니케아 공의회에서 서방 교회의 의견을 따르기로 결정하면서 본래 성찬식을 행하던 절기인 새 언약 유월절은 교회력에서 사라지고, 부활절 날짜는 '춘분 후 첫 번째 보름달이 뜬 다음의 일요일'로 정해졌다.[10][11][12] 그레고리력으로는 대개 3월 22일에서 4월 25일 사이인데,[13] 이는 당시 유럽에서 널리 숭배하던 여신 '에오스트레(이스터)'의 축제일과 비슷한 시기다.[14][15] 오늘날 부활절을 영어로 '이스터(Easter)'라는 이름으로 부르게 된 것은 이스터 여신의 축제와 관련이 있다.[16]As igrejas do Ocidente insistiam que a comunhão da Páscoa deveria ser celebrada no Dia da Ressurreição, e não a noite do 14º dia do primeiro mês segundo o calendário sagrado que Jesus havia ensinado. Em 325 d.C., no Concílio de Niceia, as igrejas decidiram seguir a insistência das igrejas ocidentais, de modo que a Páscoa da Nova Aliança, dia em que originalmente se celebrava a Santa Ceia, desapareceu do calendário eclesiástico, e a data do dia da Páscoa da Ressurreição foi definido no “primeiro domingo depois da primeira lua cheia após o equinócio da primavera”.  No calendário gregoriano, geralmente ocorre entre 22 de março e 25 de abril, que é semelhante ao festival da deusa “Eostre (Easter em inglês), que era amplamente adorada na Europa naquela época. Hoje, a palavra Páscoa da Ressurreição (Easter) está relacionada à festividade da deusa “Ostara”.

부활절의 의식A Cerimônia do Dia da Ressurreição

성경적 의식: 부활절 떡Cerimônia bíblica: o pão do Dia da Ressurreição

성경은 부활하신 예수님이 엠마오로 가던 두 제자에게 나타나신 사건을 기록하고 있다. 두 제자는 예수님과 동행하며 대화를 나누었지만, 상대가 예수님인지 알아보지 못했다. 그들의 눈이 가려져 있었기 때문이다.[17] 이에 예수님은 두 제자에게 축사하신 떡을 먹이셨고, 제자들은 그제야 눈이 밝아져 자신들과 대화한 상대가 십자가에서 돌아가신 예수님이라는 사실을 깨달았다.[18] 이후 초대교회 성도들은 예수님의 본에 따라 무교절 후 첫 안식일 이튿날에 떡을 떼며 부활절을 기념했다.A Bíblia registra de como Jesus ressuscitou dos mortos e apareceu aos seus dois discípulos que estavam a caminho de Emaús. Os dois discípulos falaram com Jesus, mas não o reconheceram. Isto ocorreu porque seus olhos estavam cobertos. Então Jesus deu o pão no qual havia dado graças, e os olhos dos discípulos se abriram e eles perceberam que estavam conversando com Jesus, que havia morrido na cruz. Mais tarde, os santos da igreja primitiva celebraram o Dia da Ressurreição partindo o pão no dia seguinte ao primeiro sábado após a Festa dos Pães Asmos seguindo o exemplo de Jesus.


“Depois dos dias dos pães asmos, [...] No primeiro dia da semana, estando nós reunidos com o fim de partir o pão, [...]”

- Atos 20:6-7


하나님의교회 세계복음선교협회는 성경대로 유월절과 무교절을 기준으로 부활절을 지키며, 예수님을 본받아 부활절 떡을 떼는 예식을 행한다.[19][20][21]A Igreja de Deus Sociedade Missionária Mundial celebra o Dia da Ressurreição com base nas datas da Páscoa e da Festa dos Pães Asmos na Bíblia, e guarda a cerimônia de partir o pão, seguindo o exemplo de Jesus.

이교적 관습: 부활절 달걀과 토끼Costumes pagãos: ovos e coelhos da Páscoa da Ressurreição

오늘날 많은 교회는 삶은 달걀을 먹으며 부활절을 기념하고, 토끼와 달걀을 부활절의 상징으로 여긴다. 토끼와 달걀이 부활절의 상징이 된 이유는 봄과 새벽을 관장하는 튜턴족의 여신 이스터(에오스트레) 숭배 관습이 기독교로 유입되었기 때문으로 추정한다.[22] 봄이 새로운 생명의 계절인 까닭에 이스터는 '다산의 여신'으로도 여겨졌는데, 토끼와 달걀은 모두 다산의 상징으로 사용됐다.[23] 오늘날 영어와 독일어에서 부활절을 나타내는 명칭이 여신의 이름에서 유래된 '이스터(Easter)' 또는 '오스테른(Ostern)'인 것도 부활절이 이방 종교의 영향으로 변질되었다는 사실을 방증한다. 이스터 여신과 달걀에 관한 기원은 훨씬 더 오래전으로 거슬러 올라간다. 고대 바빌로니아인들은 하늘에서 커다란 알이 유프라테스강으로 떨어졌고, 그 알에서 여신 이슈타르(Ishtar)가 부화했다고 믿었다.[24] 이스라엘에서는 아스다롯(Ashtoreth)이라는 이름으로 불렸다.[25] 성경은 이스라엘이 이방 종교의 습속을 받아들임으로써 하나님의 진노를 샀다고 전하고 있다.[26][27] 이러한 문제를 인식한 일부 기독교단은 부활절에 삶은 달걀 대신 사탕, 초콜릿 등을 먹으며 기념하기도 하지만 이 역시 초대교회의 부활절 예식에서 전혀 찾아볼 수 없는, 성경에 근거하지 않은 풍습이다.[28]Hoje, muitas igrejas celebram a Páscoa como comemoração da ressurreição de Jesus, consumindo ovos cozidos ou de chocolate, e consideram os coelhos e os ovos como símbolos dessa celebração. Supõe-se que a razão de coelhos e ovos se tornarem símbolos da Páscoa são porque o cristianismo assimilou o costume de adorar a deusa dos Teutões, Ostara (Eostre), que governava a primavera e o amanhecer. Como a primavera é a estação da nova vida, Ostara era considerada a “deusa da fertilidade”, e coelhos e ovos eram usados como símbolos de fertilidade. O fato de a Páscoa da Ressurreição ser chamada de “Easter” em inglês e de “Ostern” em alemão prova que o Dia da Ressurreição foi alterado pela influência de religiões pagãs. A origem da deusa Ostara e dos ovos remonta a tempos mais remotos na história. Os antigos babilônios acreditavam que um grande ovo havia caído do céu no rio Eufrates e que a deusa Ishtar havia nascido desse ovo. Em Israel, esta deusa era chamada de Astaroth. A Bíblia nos diz que Israel provocou a ira de Deus ao adotar os costumes de religiões pagãs. Reconhecendo este problema, alguns grupos cristãos celebram a Páscoa comendo doces ou chocolates em vez de ovos cozidos, mas este também é um costume não-bíblico, não encontrado na igreja primitiva.

  • 언어별 부활절의 명칭·        Nomes do Dia da Ressurreição em cada idioma
IDIOMA NOME ETIMOLOGIA OBSERVAÇÕES
Coreano 부활절 Comemora a ressurreição de Jesus Cristo
Chinês 复活节(simplificado), 復活節(tradicional)
Japonês 復活祭, イースター
Inglês Easter, Day of Resurrection, Resurrection Day Eostre, Eostrae (봄과 풍요의 여신의 이름)[29]Eostre, Ostara (o nome da deusa da primavera e da abundância) Easter e Ostara são nomes não bíblicos.
Alemão Ostern[30] eostarum (봄과 풍요의 여신의 이름)[29]Eostarum (o nome da deusa da primavera e da abundância)
Grego Πάσχα (Paskha) 히브리어 פֶּסַח[페사흐][31]를 헬라어식으로 음차Pronunciação da palavra hebraica פֶּסַח (Pessach) no estilo grego 원래 성경의 파스카는 예수님이 고난받기 전날에 지킨 절기로, 파스카의 성찬식은 예수님의 부활이 아니라 예수님의 죽으심을 기념하는 예식이다. 그런데도 예수님의 부활을 기념하는 날에 성찬식을 행하는 서방 교회의 관습이 보편화되었다. 그래서 일부 언어권에서 예수님이 부활하신 날을 파스카라고 잘못 부르게 되었다.Na Bíblia, Pascha é uma festa que Jesus celebrou um dia antes de sofrer. A Santa Ceia da Pascha é uma cerimônia para comemorar a morte de Jesus, não a sua ressurreição. Porém, tornou-se comum nas igrejas ocidentais celebrar a santa ceia no dia em que se comemora a ressurreição de Jesus. Por essa razão, em algumas línguas, o dia da ressurreição de Jesus é erroneamente chamado de Pascha.
Latim Pascha 히브리어 פֶּסַח[페사흐]를 헬라어식으로 음차한 πάσχα에서 유래Deriva-se de πάσχα, uma palavra grega para diminuir a palavra hebraica פֶּסַח [Pessach]
Russo Пасха Pascha em latim
Espanhol Pascua
Romeno Paști
Italiano Pasqua
Português Páscoa
Francês Pâques
Holandês Pasen

Referências

  1. List of Holidays in France in 2022 (Lista de feriados na França em 2022), Public Holidays in France in 2022
  2. Gesetzliche Feiertage in Nordrhein-Westfalen 2022 (Feriados em Renânia do Norte-Vestfália 2022), Die Feiertage 2022, 2023 n Deutschland
  3. Calendar of business days 2022 (Calendário de feriados 2022), Trading Hours & Holidays, EURONEXT
  4. FG declares holidays for Easter celebration (O Governo Federal declara feriado para celebração da Páscoa da Ressurreição), The Guardian, 30 de março de 2021
  5. Christians around the world celebrate Easter Sunday (Cristãos de todo o mundo celebram a Páscoa no domingo), USA TODAY, 17 de abril de 2017
  6. Êxodo 14:21-30
  7. Mateus 26-27
  8. “Easter”, The Free Dictionary.com
  9. “Easter”, WORLD HISTORY ENCYCLOPEDIA, 1 de janeiro de 2021
  10. James Gibbons, “Supremacy of the Popes (Supremacia dos Papas)”, THE FAITH OF OUR FATHERS (A FÉ DE NOSSOS PAIS), 1876, p. 134
  11. Easter 2008 is the Earliest in Nearly a Century (A Páscoa da Ressurreição de 2008 Realizada Mais Cedo Em Quase Um Século), Time and Date, 14 de março de 2008
  12. Origin of Easter: From pagan festivals and Christianity to bunnies and chocolate eggs (A origem da Páscoa da Ressurreição: Desde festividades pagãs e o cristianismo até coelhos e ovos de chocolate), ABC.net, 15 de abril de 2017
  13. Why Easter Is Called Easter, and Other Facts About the Holiday (Por que a Páscoa da Ressurreição é chamada assim e outros fatos sobre a festividade), U.S.News, 12 de abril de 2017
  14. Lucas 24:13-16
  15. Lucas 24:30-34
  16. Dia da Ressurreição de Jesus Cristo, Site Igreja de Deus Sociedade Missionária Mundial
  17. A Santa Convocação da Páscoa, a Festa dos Pães Asmos e o Dia da Ressurreição 2022, Site Igreja de Deus Sociedade Missionária Mundial, 15 de abril de 2022
  18. Resumo sobre a Páscoa, Britannica
  19. Who Is Eostre and What Does She Have to Do With Easter? (Quem É Ostara e Qual Sua Relação Com a Páscoa da Ressurreição?), Crosswalk.com, 18 de março de 2022
  20. Alexander Hislop (1998), The Two Babylons, p. 109
  21. ASTARTE WORSHIP AMONG THE HEBREWS (A ADORAÇÃO A ASTARTE ENTRE OS HEBREUS), Jewish Encyclopedia
  22. Juizes 2:12-15
  23. 1 Reis 11:31-33
  24. The #1 Most Popular Easter Candy, According to New Data (O doce mais popular da Páscoa, de acordo com novas pesquisas), Earth This, Not That!, 11 de abril de 2022
  25. “Easter”, Britannica
  26. “Ostern”, Cambridge Dictionary
  27. “Strong's #6453 - פֶּסַח”, StudyLight.org
  28. Lucas 22:15
  29. 29,0 29,1 1 Coríntios 11:23-26
  30. Alexander Hislop, THE TWO BABYLONS OR THE PAPAL WORSHIP: PROVED TO BE THE WORSHIP OF NIMROD AND HIS WIFE (AS DUAS BABILÔNIAS OU A ADORAÇÃO PAPAL: PROVOU SER A ADORAÇÃO A NINRODE E SUA ESPOSA), Vol. 27, p. 149
  31. Pasen, Cambridge Dictionary

분류:성경 상식 분류:성경 용어 분류:새 언약 복음